안철수 부인, 다운계약서 쓴 문정동 아파트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안철수 후보의 부인 김미경 교수가 2001년 아파트를 사면서 값을 시세보다 4억원 정도 낮춰 2억5000만원으로 신고한 거래 내역.

안철수 무소속 대통령 후보의 부인 김미경(49) 서울대 교수가 2001년 10월 서울의 한 아파트를 사면서 실거래가 보다 신고가격을 낮추는 ‘다운계약서’를 작성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김 교수가 이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받은 뒤 돈을 갚는 과정에서 증여세를 탈루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

 본지가 26일 문정동 올림픽훼미리아파트 209동 6XX호(49평형·162㎡, 공급면적)의 등기부증명서를 살펴본 결과 김 교수는 2001년 10월 아파트를 매입한 후 한 달 뒤 소유권 이전 등기를 마쳤다.

 문제는 서울 송파구청에 제출한 검인계약서에 거래가격이 2억5000만원으로 신고됐다는 점이다. 복수의 부동산거래정보사이트에 따르면 당시 이 아파트단지의 49평형 기준시가는 최저 4억2000만원에서 최고 5억2000만원 수준이었다. 또 주변 부동산중개업자들에 따르면 당시 실거래가는 6억5000만원 선이었다. 결국 기준시가에 비해 1억7000만~2억7000만원, 실거래가에 비해 4억원 정도를 낮춰 신고한 것이다. 현 부동산거래법상으로는 실거래가로 신고해야 하지만 2001년 당시엔 최소한 기준시가로는 신고하도록 돼 있었다.

 다운계약서 작성으로 김 교수가 취득세와 등록세를 탈루했을 가능성도 있다. 당시 취득세(2%)와 등록세(3%) 부과 기준과 검인계약서에 따른 신고가격(2억5000만원)으로 계산했을 때 김 교수는 모두 1250만원을 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기준시가 최저가(4억2000만원)에 따르면 2100만원, 실거래가(6억5000만원)에 따르면 3250만원으로 세액이 늘어난다. 다운계약서로 850만~2000만원의 세금을 덜 냈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이유다. 안 후보 캠프의 금태섭 상황실장은 26일 본지 기자에게 “다운계약서를 쓸 이유가 없었고, 쓰지도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약 6시간 뒤인 밤 10시쯤 정연순 공동대변인이 “2001년 아파트를 매입하면서 실거래가와 다르게 신고했다. 어떠한 이유에서든 잘못된 일이고 사과드린다”며 입장을 번복했다.

 김 교수가 은행 대출금을 갚는 과정도 해명이 필요하다. 등기부증명서의 채권최고액으로 추적한 결과 2001년 11월(3억9000만원)과 2004년 3월(2억5000만원)에 모두 6억4000만원을 대출받았다. 그런 뒤 2004년 11월에 대출금을 갚았다. 당시 김 교수는 딸과 미국 유학 중이었다. 딸의 교육비 까지 고려하면 별도 소득이 없는 김 교수가 이를 갚았을지 의문이다.

 안 후보가 대신 변제했다면 증여세 문제가 대두된다. 2004년에는 부부 간 증여 시 3억원까지 세금이 면제됐고, 초과분에 만 세금이 부과됐다. 안 후보가 대신 갚았다면 초과분(3억4000만원) 증여세 5900여만원을 냈어야 한다. 명확한 설명이 필요한 대목이다. 금태섭 실장은 “김 교수는 10년 이상 의사생활을 해서 모아둔 돈이 없다고 할 수 없다”며 “돈이 있어도 펀드·적금을 깨지 않기 위해 일시적으로 대출을 받지 않느냐”고 말했다. 안 후보는 저서 『안철수의 생각』에서 “탈세가 드러날 경우 일벌백계로 엄중하게 처벌해서 세금을 떼먹는 것은 엄두도 내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대선 후보 검증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