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전셋값에선 강남 대치동 앞질렀다

조인스랜드

입력

[황정일기자] “단지 내에 초·중·고교가 다 있고 교통이 좋아 직장 다니면서 애 키우기에는 정말 좋아요. 집주인이 전셋값 3000만원을 올려달라고 하지만 재계약하려고요.”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옛 주공1단지) 아파트 단지 내 상가의 한 부동산 중개업소. 22일 이곳에서 만난 최모(35·여)씨는 “살기 좋아 이사가고 싶지 않다”며 “재계약 전 혹시 조금이라도 싼 전셋집이 있나 알아보러 왔다”고 말했다.

올해로 재건축돼 입주한 지 4~6년이 된 서울 송파구 잠실·신천동 일대 잠실엘스·리센츠·트리지움·레이크팰리스·파크리오 등 5곳이 전세시장에서 초강세를 보이고 있다.

교통·교육·편의시설이라는 주거 3박자가 잘 갖춰진 때문이다. 이 덕에 20대 신혼부부는 물론 중·고교생 자녀를 둔 중·장년층에게까지 폭넓은 인기를 얻고 있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 조사 결과 이들 5개 아파트 전셋값은 3.3㎡당 평균 1483만원에 이른다. 교육여건이 좋아 전세시장에서 전통적 인기 지역으로 꼽혔던 강남구 대치동(3.3㎡당 평균 1348만원)을 앞질렀다. 한때 강남의 변방으로 불리기도 했지만 전세시장에서 만큼은 강남을 앞지른 셈이다.

국토해양부가 공개하는 전·월세 실거래가에 따르면 잠실엘스 84㎡형 11층은 7월 5억원에 계약됐다. 이웃한 리센츠(옛 주공2단지) 역시 7월 기준층이 5억원에 계약됐다. 길 건너 트리지움(옛 주공3단지)과 레이크팰리스(옛 주공4단지), 파크리오(옛 잠실시영)도 마찬가지다.

이들 아파트 84㎡형 전셋값은 연초 4억6000만~4억7000만원 정도였는데 지금은 5억1000만원을 호가(부르는 값)한다.

잠실삼성공인 이경옥 사장은 “엘스·리센츠·파크리오는 전세 재계약 시점(입주 4년차)이지만 전셋값을 올려주더라도 계속 살고 싶어하는 기존 세입자 때문에 전세 물건이 많지 않다”고 전했다.

맞벌이 가족 등 30~40대 중산층이 선호

이들 단지가 전세시장에서 유독 인기를 끄는 것은 한마디로 ‘살기 좋기’ 때문. 초·중·고교가 단지 안에 한 두 곳씩 자리하고 있다. 엘스·리센츠·파크리오에는 단지 내에 초·중·고교가 각각 1곳씩 모두 있다.

트리지움과 레이크팰리스에는 각각 초·고교, 초교가 있다. 교통도 좋다. 서울 도심 순환선인 지하철 2호선 신천역·잠실·잠실나루역이 단지 바로 앞에 있다.

이 덕에 강남·북 어디로든 출·퇴근 시간에도 20~40분 정도면 갈 수 있다. 서울외곽순환도로와 중부고속도로가 차로 10여 분 거리에 있어 수도권이나 지방으로 가기에도 편리하다. 백화점(롯데)·마트(롯데)·병원(현대아산)·관공서(구청) 역시 모두 걸어서 이용할 수 있는 거리에 있다.

한강변이고 잠실주경기장·올림픽공원·한강시민공원도 걸어서 5~10분여 거리고, 신천·방이동 먹거리 상권도 잘 발달돼 있다.

신천동 우리공인 황성민 실장은 “초·중·고 자녀가 있는 맞벌이 가족 등 30~50대의 중산층이 살기에 이상적인 조건”이라며 “대기 전·월세 수요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들 5개 아파트 인기는 전세시장에 국한된다. 시세는 여전히 대치동 등 전통적 인기지역에 비해 싼 편이다. 대치동 아이파크 84㎡형 기준층은 7월 10억1000만원에 팔린 반면 같은 달 잠실·신천동 재건축 단지 기준층은 8억~9억원 정도에 주인이 바뀌었다.

이런 추세는 쉽게 깨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잠실동 J공인 관계자는 “주말이면 백화점과 놀이공원(롯데월드)·야구장 때문에 교통이 복잡하다. 또 동간 거리가 좁고 중소형(전용 85㎡ 이하) 위주로 개발돼 집값이 오르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 서울 잠실 일대 아파트 전셋값이 초강세를 보이면서 강남 대치동을 앞질렀다. 사진은 파크리오 아파트 모습.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