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심현영 체제' 행보 명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심현영(沈鉉榮)사장이 이끄는 현대건설의 행보에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사장 취임(21일) 이후 열흘, 경영권 인수를 위해 첫출근했던 날(2일)로부터 거의 한달이 지난 沈사장은 경영정상화에 나름대로 의욕을 보이고 있다.

沈사장은 취임 당일날 전 임직원들에게 밀린 3월분 상여금(1백%)을 지급했다. 사기를 끌어올리기 위한 첫 조치였다.

沈사장은 이와함께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자신이 직접 차를 몰아 출퇴근하겠다고 공언하면서 본부장급 임원들에게도 자가운전을 당부했다.

직원들은 "출자전환도 확정된 마당에 사장이 앞장서 검소한 자세를 보이니 이제야 회사가 제대로 돌아갈 것 같다" 고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임직원들이 沈사장에게 박수만 보내고 있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인사와 관련한 반응이 민감하게 나타나고 있다.

沈사장은 지난 25일 8개 사업본부장을 임명하면서 토목사업.국내영업.관리본부장을 외부에서 데려왔다. 또 사장특별보좌역 5개 자리를 김광명 전 해외담당 사장 등 오랫동안 회사를 떠나있던 원로급으로 채웠다.

그동안 자문역이 있긴 했지만 한 두명이었고 대부분 자리만 있는 '예우' 수준이었다. 그러나 이번에 임명된 특별보좌역은 성격이 다르다. 담당할 사업영역이 따로 있으며, 결재권까지 가진다는 소문이 나돌고 있다.

여기에다 沈사장이 현대산업개발 사장 당시 함께 일했던 L씨 등 전무 이상 임원 4명도 영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이사급 이상 임원 76명은 일괄 사표를 내놓고 31일로 예정된 沈사장의 '처분' 을 기다리고 있다. 때문에 임직원들 사이에서는 "조직슬림화로 있는 사람들도 그만둬야 할 처지에 외부에서 사람들을 대거 모셔다 놓는 인사 방침을 이해할 수 없다" 거나 "젊은 피의 과감한 수혈을 통해 분위기를 바꿔놓으려면 내부승진을 통한 인사쇄신이 바람직하다" 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沈사장은 "앞으로 경영에 도움이 된다면 외부인사 영입에 적극 나서겠다" 고 말했다. 기획실 관계자는 "보좌역은 현재의 위기를 현명하게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연말까지만 운용할 계획" 이라고 말했다.

2조9천억원을 쏟아부을 채권단의 시각은 대체로 "좀 더 기다려보자" 는 것이다. 이연수 외환은행 부행장은 "벌써 沈사장체제를 평가한다는 것은 이르다" 며 "권한과 책임을 완전히 주기로 하고 영입한만큼 좋은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 고 말했다.

그러나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沈사장이 현대건설을 맡은지 사실상 한달이 지났는데 경영정상화를 위한 복안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고 아쉬움을 표했다.

황성근.김원배 기자 hsg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