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률 급증, 기업 퇴직관리는 후진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삼성경제연구소는 30일 우리나라 기업들의 퇴직관리는 후진국 수준에 머물고 있다면서 사전적 퇴직경고제 등을 도입해 종업원들이 미리 대비토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구소는 이날 내놓은 `효과적 퇴직관리의 실천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정부와 은행권이 `상시 기업퇴출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어 앞으로 퇴직률이 급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정부와 은행권이 현재 퇴출심사중인 1천544개 기업 가운데 300여개 기업이 정리되는데다 6월중에는 워크아웃기업 6∼7개가 퇴출되면서 퇴직자들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들의 퇴직관리는 아직도 단기적이고 임기응변적 수준에 머물러 있고 퇴직자 선정과 관련한 평가기준과 절차도 제대로 갖추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인해 퇴직자 선정을 둘러싼 갈등과 조직이완, 법정소송 등이 잇따르는 등 부작용과 후유증이 심각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연구소는 기업들이 매년 퇴직률을 발표하는 `사전적 퇴직경고제'와 일정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면 구조조정에 들어간다는 원칙을 미리 밝히는 `구조조정 사전예고제'를 도입해 고용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의 제너럴일렉트릭(GE)은 10%, 일본의 리쿠르트는 6∼8%로 퇴직률을 설정, 계속고용에 대한 종업원들의 막연한 기대를 없애고 있다고 연구소는 전했다.

아울러 40세가 되는 종업원에 대해 `생애설계 연수'를 실시해 전직과 퇴직에 미리 대비토록 하고 종업원의 의사와 선택을 존중하는 `상시 희망퇴직제'를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퇴직자의 재입사를 허용하는 등 인사체계를 개방형으로 전환하고 퇴직하는 사람을 무능력자로 낙인찍는 부정적 이미지도 다각적인 방법을 통해 불식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태원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지금까지 퇴직문제는 주로 정부차원에서 다뤄졌다'면서 '이제는 기업들이 보다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퇴직관리에 나서야 하며 이는 퇴직비용을 줄이는데도 도움된다'고 설명했다.(서울=연합뉴스) 윤근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