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5개 단지 재건축 순차적 시행

중앙일보

입력

서울 강남의 노른자위 저밀도 아파트지구의 재건축 사업은 어떻게 돼가고 있나.

서울시가 해당 지역 조합원들과 부동산 업계가 초미의 관심을 보이고 있는 잠실 등 5개 지구의 재건축 시기 결정원칙 등을 21일 발표했다.

일부에서 과열양상 마저 나타나고 있는 만큼 지구별로 일정 가구수를 정해 순차적으로 재건축을 승인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올해말까지 반포를 제외한 4개지구에서 한 단지씩 사업승인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재 이들 지역에선 재건축 순서가 뒤처질 경우 수익성이 하락해 조합원들의 추가 부담이 늘어날 것을 우려해 빨리 승인을 받으려는 경쟁이 치열하다.

5개 저밀도 지역은 잠실, 청담.도곡, 화곡, 암사.명일, 반포 등이며 43개 단지에 5만1백52가구가 살고 있다.

재건축 용적률은 기본 2백70%에 공공시설 확보 비율 등에 따라 추가로 15%까지 인센티브가 주어져 총6만여 가구가 지어진다.

◇ 승인 시기 조정=한꺼번에 아파트를 지을 경우 전.월세난과 교통악화, 폐자재 처리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기를 분산해 짓도록 한다는 것.

이에 따라 서울시는 잠실지구는 한개 단지, 청담.도곡 지구는 2천5백가구, 화곡 및 암사.명일 지구는 각각 3천가구를 첫 사업승인 '기준 가구' 로 정해 재건축 시기를 조정할 방침이다.

사업 승인 신청 가구수가 기준이내 이면 문제가 없으나 기준을 초과하면 선별적으로 승인하기로 했다.

서울시 김봉현(金奉鉉)주택기획과장은 "제일 먼저 승인이 난 단지의 공사가 늦어지면 연쇄적으로 재건축이 지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첫번째 단지 선정에 신중을 기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시는 재건축 열기의 과열을 막기위해 다음달 말까지 저밀도 아파트 지구의 투기를 조장하는 '떴다방' 에 대한 집중 단속을 벌인다.

이 기간중 마포구 상암동 등에 대한 아파트입주권 불법거래에 대한 단속도 실시한다. 신고는 시청 및 각 구청 지적과. 02-3707-8053~4.

◇ 지구별 추진상황=행정 절차상 진척이 가장 빠른 곳은 청담.도곡지구. 청담.도곡 지구 13개 단지중 6개 단지가 교통영향평가를 완료했고 4개 단지는 건축 심의를 받고 있다.

심의중인 곳은 ▶영동 2단지(8백40가구) ▶영동 3단지(7백가구) ▶도곡 주공1차(2천4백50가구) ▶영동 차관아파트(1천6백54가구)다.

이 지역의 처음 건축승인을 받을 수 있는 기준 가구수는 2천5백 가구이므로 예를들어 주공1차 지역이 먼저 승인을 받으면 다른 단지는 재건축 시기가 늦쳐질 수 밖에 없다.

잠실에선 2단지(4천4백50가구), 3단지(3천2백80가구), 시영단지(6천가구)등이 교통영향평가를 마쳤다.

또 화곡지구에선 1천8백34가구의 1주구(住區)가, 암사.명일 지구에선 4백70가구인 동서울 아파트가 교통영향평가를 마치고 건축심의를 준비하고 있다.

그러나 반포지구는 소형평수 비율 논란이 계속돼고 있는데다 대형 평형에 사는 주민들이 재건축을 꺼리고 있어 기본계획 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

김영훈 기자 filic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