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알뜰폰 시장 늘어나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국내에 스마트폰이 도입된 지 채 3년이 지나지 않아 스마트폰 가입자 3000만 명 시대를 맞았다.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면서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지만, 동시에 통신요금 부담도 커졌다.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 2분기 가구당 통신비는 15만436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3% 늘었다. 조사 대상인 12개 항목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제 가계 지출 가운데 식비·교육비 다음인 통신비의 거품을 어떻게 뺄지가 선거 때마다 도마에 오를 만큼 사회적 관심사가 됐다.

 그 유력한 대안의 하나가 이동통신재판매(MVNO)라는 알뜰폰 서비스다. 이 사업은 기존 이동통신사업자(MNO)들의 통신망을 빌려 쓰기 때문에 통신망을 까는 비용이 들어가지 않아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똑같은 통화 품질에다 가격은 20% 이상 싼 경우가 많다. 오래전부터 이 서비스가 도입된 선진국에선 MVNO가 틈새시장에서 확실히 뿌리내렸다. 미국의 MVNO 시장 점유율은 8.4%이며, 영국은 12.6%에 이르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는 2년 전에야 처음 허용했으며, MVNO의 점유율은 고작 1%에 불과하다. 그동안 SKT, KT, LGT 같은 MNO들은 자신들의 수익성을 해칠까 봐 알뜰폰 확산을 꺼려왔던 분위기였다. 이로 인해 알뜰폰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도 10% 수준에 머물렀다.

 하지만 통신시장에 경쟁을 불어넣고, 이용자의 선택권을 넓히려면 새로운 자극이 필요하다. 이미 미국과 유럽에서 MVNO 서비스가 통신요금 인하를 주도하는 등 나름의 성과를 거두고 있다. 마침 지지부진하던 국내 알뜰폰 서비스에 거대 유통기업들이 가세하기 시작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이번 기회에 이통사를 거치지 않고 다양한 유통망에서 휴대전화를 사고 팔 수 있는 휴대전화 자급제(블랙리스트 제도)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알뜰폰 서비스가 시장에 확실히 자리 잡을 수 있는 환경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때다. 소비자의 선택권이 다양해져야 통신요금 인하와 단말기 가격 안정을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