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 병맥주보다 캔맥주 소비늘면 '여름'

중앙일보

입력

'캔맥주가 병맥주보다 더 잘 팔리면 여름' .

달력보다 상품을 통해 계절의 변화를 읽을 수 있다는 LG유통(http://www.lgmartcorp.com)의 독특한 계절 진단법이다.

요즘처럼 여름같은 이른 더위가 이어지면서 봄인지, 여름인지 분간이 어려울 때 참고로 삼을 만한 기준이다.

이 회사가 자사 편의점 LG25의 판매실적을 토대로 분석한 '여름 진단법' 은 맥주와 소프트드링크.아이스크림 등의 판매량 변화가 핵심 기준이다. 이들 상품이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면서 기온 상승에 따라 10~30% 이상 판매가 급격히 늘기 때문이다.

맥주의 경우 낮 최고기온이 섭씨 21~23도를 넘어서는 시기를 기준으로 판매량이 15% 이상 증가한다. 특히 이 때부터 캔맥주의 판매량이 병맥주에 비해 높아지는 특징을 보인다. 날이 더워질수록 휴대가 간편한 캔 제품을 찾기 때문.

올해는 지난달 말에 이미 한차례 캔맥주가 병맥주를 앞섰다가 바로 역전됐으며, 어린이날(5일)을 기점으로 다시 캔맥주가 앞서고 있다.

LG유통 MD부문장 이용석 상무는 "편의점에서 캔맥주 판매량이 병맥주를 누르는 순간이 여름의 신호탄" 이라며 "이 시점을 기준으로 매장의 진열장을 여름상품 위주로 바꾼다" 고 말했다.

캔맥주가 많이 팔리면 이어 소프트드링크와 아이스크림 등 여름상품의 매출도 뛰어오르기 시작한다는 게 LG유통의 분석이다.

아이스크림도 종류별로 계절따라 판매량이 달라진다. 더위가 시작되면 바 모양과 콘 모양이 컵 모양을 추월하게 되고, 본격적인 한여름이 되면 얼음에 가장 가까운 바 모양이 가장 높은 판매율을 보인다. 이 때가 되면 아이스크림 냉장고는 바 모양의 상품들로 가득 채우도록 진열을 조정한다.

이밖에도 포카리스웨트 등 이온음료가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를 추월하는 시점이 여름 진입을 뜻하며, 생수가 미에로화이바와 같은 기능성음료를 추월하는 시점을 한여름이 시작하는 신호로 본다. 더위로 갈증이 날수록 단맛 때문에 갈증을 더해주는 탄산음료 대신 이온음료를, 기능성 음료보다 생수를 찾게 되기 때문이라는 것.

LG유통 이희성 부장은 "편의점은 날씨와 기온에 따라 적절한 상품을 제대로 진열하는가에 따라 매출차이가 크다" 며 "이같은 분석을 자료화해 점포별로 제품공급 및 재고 정보를 전해준다" 고 말했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