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연구과제 예산비중 50%로 확대"

중앙일보

입력

과학기술부의 고유사업비 가운데 5년이상 장기연구과제에 대한 예산비중이 50%까지 증가될 전망이다.

또 과기부는 정부 출연연구소 경영진의 자율성을 보장해 연구원들의 사기를 높이기 위해 불필요한 연구소 경영평가 등 정부의 개입을 대폭 줄여나갈 방침이다.

김영환(金榮煥) 과기부 장관은 4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출연연구소의 안정적인 연구활동 보장을 위해 현재 30% 수준인 5년이상 장기 연구과제에 대한 예산비중을 50%까지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올해 1조3천억원 규모의 과기부 고유사업비 가운데 2천500억원 가량의 예산이 21세기 프론티어 연구사업등 5~10년 단위의 장기 연구과제에 추가 배정될것으로 보인다.

과기부는 장기 연구과제에 대한 예산배정 비율을 높여 현행 출연연구소의 예산배정 방식인 PBS(Project Based Sysrem)를 과감히 개선, 연구비를 확보하기 위해 낭비됐던 인력 소모를 지양하고 연구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이어 "과학기술 연구의 특수성을 고려, 장기 연구과제 연구비의 비중을 전체 고유사업비의 3분의 2 이하로 조정해 단기 연구과제와 중.장기 연구과제간 균형을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또 "심각하게 훼손된 과학기술인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도록 정부 출연연구소 소장을 비롯한 경영진의 자율성을 보장할 것"이라며 "이를 위해 필요없는 연구소 평가체제를 개선하는 등 정부의 개입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출연연구소의 위상을 재정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강훈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