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수주전 과열양상…수익성 저하 우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건설업체들이 수주물량 확보를 위해 재건축 아파트 시장에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파격적인 수주조건을 제시하는 등 과열양상을 빚고 있다.

이러한 제살깎기식 경쟁으로 주택건설업계의 전반적인 수익률 저하가 우려되고 있는 가운데 시공업체와 조합원, 조합원 내부에서 사업성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7일 청담 삼익아파트 재건축 시공권을 따낸 롯데건설은 수주과정에서 평당 공사비 363만원의 확정지분제와 280%의 책임용적률 보장이라는 조건을 내걸어 업계에서는 과연 이 조건이 지켜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7월 서울시 도시계획조례 발표에 따라 앞으로 용적률 제한이 크게 강화될 상황에서 최소 280%의 용적률을 보장하되 차질이 생길 경우 모든 손실을 부담하겠다는 다소 공격적인 조건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따라 그동안 몇차례 롯데건설과의 수주전에서 번번이 고배를 마셨던 삼성물산 주택부문은 당초 롯데건설과 비슷한 용적률을 제시했었지만 사업성이 없다고 판단, 사업포기를 선언하는 해프닝을 빚기도 했다.

최근 재건축 사업의 적정 공사비와 관련, 동부건설이 의왕 대우사원 아파트 재건축 입찰에서 제시한 조건을 놓고도 '저가수주' 논란이 일고 있다.

동부건설은 이달 12일 시공사를 선정하는 이 입찰에 다른 업체들보다 최고 27만원이나 낮고 건설교통부가 정한 공공건설 임대주택 표준건축비 204만원보다도 싼 평당 공사비 193만5천원을 제시했다.

이와 관련, 동부건설 관계자는 "지난해 대치동 주공아파트 재건축에도 타회사보다 평당 60만원이나 싼 공사비로 수주한 적이 있다"며 "낮은 가격으로 수주했다고해서 밑지는 장사를 의미하진 않는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 3월 청담동 한양아파트 재건축 수주과정에서는 LG건설과 대림산업이 적정 용적률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대림산업은 '건축법상 기부채납해야 하는 도시계획시설(시설녹지)은 대지면적에서 제외된다'는 서울시의 회신을 들어 LG건설이 제시한 용적률 281%는 시설녹지를 포함한 것이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나올 수 없는 계산법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LG건설은 '시설녹지라는 이유만으로 조합원의 재산을 용적률 산정에서 제외한 것은 잘못이며 현행 법규정상 가능한 용적률'이라고 반박했었다.

업계 관계자는 "수도권 요지에 아파트 지을 땅이 점차 없어지자 당장의 수주물량을 확보할 수 있고 분양전망이 밝다는 인식에 따라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무리한 수주경쟁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는 결국 건설업체간 출혈경쟁과 사업지연, 조합원들의 분담금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