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 통진당 신·구 당권파 결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통합진보당 강기갑 대표가 6일 당 쇄신방안 발표 뒤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통합진보당 신당권파가 6일 신당 창당을 공식화했다. 이석기·김재연 의원의 제명안을 부결시킨 옛 당권파와 결별을 선언한 것이다. 강기갑 대표는 이날 “진보정치 재건을 위해 남은 길은 통합진보당을 뛰어넘는 새로운 대중적 진보정당 건설뿐”이라며 “ 당의 ‘발전적 해소’를 포함한 다양한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대표의 이런 입장 표명은 그가 속한 인천연합, 유시민 전 대표의 국민참여계, 심상정 전 원내대표의 통합연대 등 신당권파 3개 정파 관계자들이 전날 신당 창당에 합의하면서 나온 것이다. 이들은 통합진보당에 대한 지지 철회를 확정할 가능성이 큰 민주노총과도 적극적으로 연대한다는 방침이다.

 문제는 방법론이다. 바로 집단 탈당을 한 뒤 신당을 창당할지, 아니면 당을 해산한 뒤 제3지대에서 헤쳐 모여 할지 결정을 못하고 있다. 신당권파가 즉각 행동에 나서지 못하는 건 3명의 자파 비례대표(박원석·정진후·서기호) 의원들의 거취 때문이다. 탈당하는 순간 이들은 의원직을 잃는다. 이렇게 되면 이들의 금배지는 유일한 비례대표 후보인 옛 당권파 측 강종헌(61)씨에게 넘어가 옛 당권파의 의석만 늘려준다. 신당권파가 창당 후 국회에서 조금의 캐스팅보트라도 쥐기 위해선 자파 의원 6명을 건사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비례대표 의원은 당이 해산하거나 제명 당할 때라야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다. 통합진보당 당헌에 따르면 당 해산을 위해선 당원 과반수 이상의 투표와 투표자의 3분의 2 찬성이 따라야 한다. 머릿수에서 달리는 신당권파로선 거의 불가능한 얘기다. 이에 따라 신당권파 내부에선 “꼼수라는 비판을 받더라도 이들 의원을 제명시켜 제3지대에 먼저 보내놓자”는 얘기가 나온다.

양원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