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개인·기업부채 1조 눈앞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개인부문에서 금융부채가 급증하고 있다.

정부부문의 부채증가는 외환위기 이후 늘어난 재정소요에 충당하기 위한 것이지만 재정부실화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소비성자금 충당을 위한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등에 따른 개인부채 증가도 자칫하면 개인파산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00년 자금순환동향(잠정)'에 따르면 지난해말 현재기업, 개인 및 정부 등 비금융부문 부채는 995조4천억원으로 전년말에 비해 7% 증가했다.

경제주체별로는 정부부문이 82조5천억원으로 13.6% 늘었고 개인부문은 293조7천억원으로 10.3% 증가했다.

정부부문 부채는 철도회계, 양곡관리기금회계 등 정부기업 부채(7-8조)와 외평채(13조원),국민주택기금(17조원) 등의 부채가 제외된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금융기관들이 외환위기 이후 신용위험이 크게 증가한 기업보다는안전한 자산운용이 가능했던 개인부문으로 자금을 운용했다고 밝혔다.

기업부문 부채는 619조2천억원으로 4.7% 증가에 그쳤다.

한편 기업, 개인, 정부 등 비금융부문 부채가 명목GNI(국민총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3배로 전년말(1.94)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각 부문별 자금조달과 운용을 보면 기업은 주로 은행차입을 통해 전년보다 14조7천억원 늘어난 66조5천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증시침체로 주식발행 등 직접금융을 통한 조달이 19조원에 그쳐 전년(24조8천억원)에 비해 크게 줄었고 종금사, 은행신탁 등 비은행금융기관 차입금도 감소했다.

개인부문은 가계의 자금수요 증가와 금융기관의 가계대출 확대노력으로 자금조달규모가 전년보다 13조5천억원이나 늘어난 36조6천억원을 기록했다.

한은은 주로 소비성자금 충당을 위한 신용카드서비스, 주택 및 주식투자와 관련한 자금조달이 많았던 것으로 추정했다.

개인부문 자금잉여는 소득증가율을 상회한 소비지출의 영향으로 전년(41조원)에비해 크게 축소된 33조7천억원에 그쳤다.

금융부문은 은행대출이 늘었지만 비은행금융기관의 수신부진에 따른 대출금 감소 및 유가증권 매입부진으로 비금융부문 자금공급이 99년 45조4천억원에서 지난해는 39조9천억원으로 줄었다. (서울=연합뉴스) 진병태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