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새 대표에 이해찬 모바일 투표 통해 막판 역전

중앙선데이

입력

민주통합당 임시 전당대회가 9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렸다. 당 대표에 선출된 이해찬 신임 대표(오른쪽)가 박지원 원내대표의 축하를 받고 있다. 이 대표는 24.3%로 2위 김한길 후보(23.8%)를 0.5%포인트 차로 눌렀다. 김형수 기자

"중앙선데이, 오피니언 리더의 신문"

민주통합당의 새 대표로 9일 친노(노무현 전 대통령) 좌장인 이해찬 후보가 선출됐다. 이 후보는 이날 오후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임시 전당대회에서 최종 득표율 24.3%로 김한길(23.8%) 후보를 0.5%포인트 차로 누르고 1위를 차지했다. 이 후보는 문재인 고문을 중심으로 집결한 친노 진영으로부터 지원을 받았다.

반면 김한길 후보는 김두관 경남지사 및 손학규 전 대표가 간접 지원해 민주당 차기 대선 주자들 간의 대리전이라는 평가가 나왔었다. 이 후보가 승리함에 따라 문재인 고문은 민주통합당의 대선 경쟁에서 일단 유리한 고지를 장악하게 됐다. 이해찬ㆍ김한길 후보에 이어 추미애(14.1%), 강기정(10%), 이종걸(8.4%), 우상호(7.5%) 후보가 3∼6위로 최고위원에 올랐다. 조정식(6%)ㆍ문용식(5.9%) 후보는 각각 7위와 8위에 그쳐 최고위원 진출에 실패했다.

지역순회 경선이 마무리된 지난주까지만 해도 ‘이해찬 대세론’을 뒤집고 돌풍을 일으킨 김한길 후보가 우세할 것이라는 전망이 당 안팎에서 나왔었다. 경선 초기 불거진 ‘이해찬-박지원 역할분담론’에 대해 당내에서 ‘담합’이라는 비판이 제기됐고, 반(反)이해찬 연대가 형성된 데 따른 것이다. 경선에 출마했던 한 후보 측 인사는 “거의 대부분의 후보 진영에서 이해찬 후보 대신 김한길 후보를 2순위로 지지하는 ‘이해찬 배제 투표’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이런 와중에 이해찬 후보는 탈북자들을 비난한 임수경 의원을 감싸고, 라디오 생방송 인터뷰를 일방적으로 중단하는 등의 행동으로 자질 시비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 후보는 9일 전당대회에서 모바일 투표에서의 우위를 차지해 막판 재역전극의 주인공이 됐다. 최종 집계 결과 대의원 투표에서는 김한길 후보가 총 1만8748표를 얻어 1만6326표를 확보한 이해찬 후보보다 2422표 앞섰다. 이는 지난달 31일까지 진행됐던 지역순회 대의원 투표에서 나타났던 김한길 돌풍이 그대로 이어진 것이다. 그러나 모바일 투표에선 정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 후보는 6만5214표를 얻으며 6만2735표를 확보한 김 후보를 2479표 차이로 앞서 재역전에 성공했다. 3:7 비율로 가중치가 적용되기 때문에 최종 승자는 이 후보가 됐다.

모바일 투표의 승리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불거진 종북 논란에 대해 이를 색깔론으로 맞받아친 이 후보의 선명성 전략이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민주당 당직자는 “종북이 이슈가 되며 야권 전반에 대한 위기감이 번졌고, 이 과정에서 가장 강하게 맞대응했던 이 후보에게 야당 지지층의 관심이 집중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후보 측의 오종식 대변인은 “현재 박근혜 전 새누리당 대표 대세론이 강력하게 작용하는 상황에서 일반 지지층은 이를 돌파할 강한 야당과 강한 리더십을 원했다”고 자평했다. 이번 모바일 선거인단이 지난 1월 민주통합당의 첫 지도부 선출 때보다 참여 숫자가 줄어든 것도 김한길 후보 측에 불리하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1월 모바일 투표 참여 인원은 47만8385명에 달했다. 그러나 이번엔 12만5647명에 불과했다. 투표 참여 인원이 적어 민주당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지지층과 친노 성향의 시민단체 등으로부터 적극 지원을 받은 이 후보가 유리했다는 것이다. 정봉주 전 의원의 팬클럽인 ‘정봉주의 미권스(미래권력들)’도 공개적으로 이 후보 지지를 선언했었다. 김한길 후보 측은 “모바일 동원력의 힘이 컸고 지난 4년간 정치 공백이 있었던 김 후보가 바닥 조직을 동원할 능력이 부족했다”고 말했다.

9일 경선 결과로 이해찬 대표 체제가 출범하게 됐지만 2위와의 득표 차가 0.5%포인트에 불과해 경선 과정에서 불거졌던 갈등이 얼마나 해소될지 미지수다. 특히 김한길 후보가 경선에서 이 신임 대표를 상대로 공정한 경선 관리 여부를 집중 추궁했던 만큼 향후 대선 후보 경선 일정과 경선 룰 확정 과정에서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채병건·강나현 기자 mfemc@joongang.co.kr

중앙SUNDAY 구독신청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