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근혜 3인 “경선 파국” 최후통첩에 박근혜는 “ …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이 8일 충남 천안 지식경제공무원교육원에서 열린 의원 연찬회에 입장하기 직전 취재진과 부딪힌 오른팔을 만지며 연찬회장으로 향하고 있다. 이학재 의원(왼쪽에서 둘째)과 당료들이 팔을 뻗어 박 전 위원장을 보호하고 있다. 비박근혜계 의원들은 이날 불참했다. [연합뉴스]

정몽준·이재오 의원과 김문수 경기지사, 이 세 명의 비(非)박근혜계 대선 경선 주자가 8일 ‘경선 보이콧’ 카드를 꺼내들었다.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를 도입하지 않으면 경선 자체를 거부하겠다고 박근혜계에 ‘최후통첩’을 보낸 셈이다. 이들은 이날 충남 천안시 지식경제공무원교육원에서 1박2일로 열린 의원 연찬회에도 불참했다. 대선 경선에서 현행 룰을 고수하려는 박근혜계 지도부와 비박(非朴)계 주자들의 정면충돌이다.

 세 후보 측 대리인인 안효대(정몽준) 의원과 차명진(김문수)·권택기(이재오) 전 의원은 이날 공동성명을 내고 "최고위원회가 정권 재창출을 원한다면 2007년처럼 후보 간 합의로 경선 룰을 확정한 뒤 경선관리위를 출범시켜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위해 황우여 대표와 면담도 요구했다.

 김 지사 측 김용태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오픈프라이머리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기존 방식의 경선에는 참여할 수 없다”며 “이대로 가면 경선 무산의 파국을 맞을 수 있으며 모든 책임은 박근혜계 지도부에 있다”고 경고했다. 지도부가 ‘대의원 20%, 당원 30%, 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인 경선 룰을 고수할 경우 보이콧하겠다는 것이다.

 정몽준·이재오·김용태·안효대 의원 등 비박계 의원들은 “일방적인 당 운영에 들러리를 서지 않겠다”며 의원 연찬회에도 불참했다. 정 의원은 트위터에 “요즘은 타임머신을 탄 느낌. 민생이나 논의하지 정쟁은 하지 말라. 당의 정책에 토 달지 말라. 50년 전 얘기들”이라며 "일사불란한 충성의 덕담들, 뻔한 시나리오를 들고 흥행하겠다니 참”이라고 적었다. 또 이날 연찬회장 로비에선 김문수 지사의 지지자 20여 명이 몰려와 “체육관 경선으론 대선 필패” “완전국민경선제, 정권 재창출 보증수표”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그러나 연찬회에 참석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들의 경선 룰 반발에 대해 계속 침묵했다. 취재기자들은 “비박 주자들이 아무도 연찬회에 오지 않았다” “경선을 보이콧할 움직임이다” “경선 룰을 변경할 의향이 있는가” 등의 질문을 쏟아냈으나 일절 답변하지 않은 채 행사장으로 입장했다.

 황우여 대표는 경선 룰 협상을 위한 경선준비위원회 절차 없이 11일 경선관리위원회를 출범시켜 경선 일정을 예정대로 진행한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그러나 “최고위에서 대선 주자들을 직접 만나 보라는 얘기도 있었고 오늘 일(비박근혜계의 불참)도 있어서 비서실장을 통해 비박 주자들을 주말 내에 만나기로 일정을 조율 중”이라며 “세 분을 한꺼번에 만날지, 한 분씩 만날지 정해지지 않았다”고 해 협상 가능성을 열어 뒀다. 반면 서병수 사무총장은 “ 당헌당규를 (오픈프라이머리로) 바꾸자는 것에 대한 반대 목소리도 큰데 될 수 있겠느냐”고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