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이 트렌드를 주목하라! [1]

중앙일보

입력

양자물리학의 거장으로 1922년 노벨 물리학 수상자인 닐스 보어는 “예측, 특히 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매우 어렵다”고 기술한 바 있다. 맞는 말이다.

더도 말고 1년 전만 뒤돌아보자. 나스닥 종합지수가 5000선을 돌파했다가 9개월 만에 반토막날지 누가 상상이나 했겠는가. 기업·소비자간 전자상거래를 뜻하는 ‘B2C’가 ‘다시 컨설팅으로’(back to consulting)라는 빈정거림의 대상이 될 줄 누가 알았겠는가.

‘보조개 투표용지’가 정치용어로 등장하리라고 예상한 사람이 과연 있었을까.없었을 것이다. 그렇다고 가만히 앉아 있을 수만도 없는 노릇. 스탠더드誌는 올해 눈여겨볼 만한 트렌드를 선정했다.

계속 관찰하기 바란다. 이들의 향배에 따라 인터넷 경제도 움직일 것이다.

미국 투개표시스템 개선관련, 대규모 시장이 형성된다
지난해 재검표 소동 후 ‘플로리다 再版 방지형’(Florida-proof) 투개표시스템 개발 논란이 뜨겁다. 용지 변경에만 65억달러 소요.

플로리다주의 투표결과가 영원히 정확하게 드러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한 가지만은 확실하다. 바로 투표용지 논쟁으로 빚어진 혼란이 선거 관련 업계에 많은 기회를 몰고 왔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웹에 기반한 선거방식이 널리 보급되려면 앞으로도 몇년이 걸리겠지만 올해 각 주와 시 선거관리위원회는 연방정부의 도움을 받아 악명 높은 펀치카드 방식의 투표용지를 대체할 방법을 찾는 데 엄청난 시간과 돈을 쏟아부을 것이다.

펀치카드 방식 투표용지를 대체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워싱턴의 컨설팅업체 일렉션 데이터 서비시스(Election Data Services)의 킴 브레이스 사장에 따르면 지난 98년 선거 당시 유권자의 약 31%가 펀치카드 방식 투표용지를 사용하도록 돼 있었다.

터치스크린 방식 투표기라든가 자동입출금기 스타일 기기처럼 플로리다주 투표용지 분쟁의 재발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브레이스 사장은 “아무도 플로리다주 팜비치 소동을 재연하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일렉션 센터(Election Center)의 더그 르위스 이사는 미국 전체의 펀치카드 방식 투표용지를 바꾸는 데 드는 비용이 6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일렉션 센터는 각 주와 시 선거 관련 공무원들로 구성된 비영리 조직이다.

아무튼 선거 관련 장비업체들은 큰돈 벌 기회를 눈앞에 두고 있는 셈이다. 르위스 이사는 이런 분위기가 고조되면서 너무나 바빠져 지난 몇 주간은 ‘거의 비행기에서 살았다’고 말했다.

전통적으로 각 주와 카운티 선거관리위원회가 예산의 대폭증액을 요구하는 경우는 드물다. 하지만 플로리다주 재검표 소동은 적어도 지출 우선순위라도 바꾸도록 강요할지 모른다. 지난해 11월 캘리포니아주 의회 대변인 로버트 허츠버그는 3억 달러를 들여 캘리포니아주의 투개표기를 업그레이드시킬 것을 제안했다.

코네티컷주모든 마을에서는 아직도 기계의 레버를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투표를 하고 있는데, 일부 공무원들은 코네티컷주의 재정흑자 중 1130만 달러로 이 기계를 첨단화 장비로 대체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찰스 슈머 상원의원(민주·뉴욕주)은 연방선거위원회가 투표방식을 전면 검토할 것을 의무화하고 각 주의 ‘투표 개선기금’으로 총 2억5000만 달러의 예산을 책정하는 법안을 긴급 제안했다.

이는 하이테크 투표라는 새로운 사업 기회로 연결된다. 지난 98년에는 투표자들의 단지 36%만이 터치스크린이라든가 광학 스캐닝 장비를 이용해 투표할 수 있었다. 일렉션 시스템스 앤 소프트웨어(Election Systems and Software), 글로벌 일렉션 시스템스(Global Election Systems), 세쿼이아 퍼시픽 보팅 이큅먼트(Sequoia Pacific Voting Equipment) 등의 업체들이 제품, 서비스 개발 판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들은 또한 온라인 실험을 통해 일렉션닷컴 (Election.com)이나 보트히어닷넷 (VoteHere.net)등 인터넷 투표회사들의 측면공격을 막아내고 있다.

한편 인터넷업체들은 이미 기업이나 노동조합 등을 위해 투표관리를 대행해 주고 있으며 주 정부 관계자들로부터 자사가 개발한 투개표 시스템에 대한 인증을 받으려 애쓰고 있다.

그러나 첨단 온라인 투표의 매력에도 불구하고 보안과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우려 때문에 온라인 투표방식의 채택은 최소한 몇년 이상은 더 늦춰질 것이다. 그때쯤이면 ''구멍이 제대로 뚫리지 않은 표’라는 말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