뿔난 광교 입주민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경기도청의 광교신도시 이전 보류를 즉각 철회하라.”

 15일 오후 2시쯤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의 경기도청 정문 앞. 광교신도시 입주민 500명이 외치는 구호가 울려 퍼졌다. 이들 주변엔 ‘도청은 광교신도시로, 김문수 지사는 집으로’ ‘도청 광교신도시 이전 원안대로 이행하라’ 등의 플래카드 10여 개가 내걸렸다. 이들은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으면 도청 앞에서 수시로 규탄집회를 열겠다”고 경고했다.

 경기도가 도청을 광교신도시로 옮기겠다는 계획을 보류한 것에 대한 광교신도시 입주민들의 반발이 거세다. 이들은 도청 이전계획 보류 발표 직후 ‘경기도청 광교신도시 이전 추진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를 구성해 집단행동에 나서고 있다. 비대위 관계자는 “김 지사의 도청 광교신도시 이전 무기한 중단 지시는 사실상 도청 광교 이전 백지화를 선언한 것”이라며 “설계비까지 확보된 상태에서 보류는 설득력이 없다”고 꼬집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달 16일 “부동산 경기침체에 따른 세수 감소로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다”며 “도청 이전계획을 무기한 보류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당초 내년까지 신청사의 기본·실시설계를 끝내고 2014년 착공해 2016년 완공할 계획이었다. <본지 4월 17일자 18면>

  비대위는 이달 말까지 김 지사가 신도시 이전보류를 철회하지 않으면 도청 이전 이행청구 소송을 제기한다는 방침이다. 또 김 지사를 사기분양 혐의로 고발하고 분양권 계약서를 반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재기 비대위원장은 “당초 계획과 달리 행정타운이 조성되지 않으면 아파트 값 하락 등 입주민들의 손해가 커질 것”이라며 “손해배상청구소송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아파트 동과 호수에 따라 다르지만 경기도청 이전 부지가 바로 앞인 한 아파트는 분양권 프리미엄이 전용면적 128㎡는 5000만~7000만원대, 148㎡는 4000만~4500만원대에 달했다. 하지만 도청 이전 보류 조치로 거래는 거의 끊겼다.

 그러나 광교신도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 주민들은 도청 이전에 대체로 부정적이다. 채모(52·수원시 화서동)씨는 “도 살림이 바닥나고 있는 상황에서 4000억원 가까운 돈을 들여 신청사를 짓는 것은 무리”라고 말했다. 경기도 건설본부 관계자는 “재정 형편이 나아지는 대로 건립 계획을 다시 세울 예정”이라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