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 인사이트] 동네 빵집 킬러는 프랜차이즈? ‘빗나간 화살’은 일자리 줄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권혁주
유통팀장

강원도 정선에서 파리바게뜨를 운영하는 이일웅(36)씨. 전문대를 졸업하고 1998년 서울 강남구 신사동 파리바게뜨에서 제빵기사로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이씨는 그때부터 ‘언젠가 내 자신의 빵집을 내리라’ 마음먹었다고 한다. 그리고 13년 만인 지난해에 그 꿈을 이뤘다. 그러면서 다시 파리바게뜨를 택했다. 13년간 갈고 닦은 실력은 자신의 이름으로 빵집을 내기에도 충분했다. 하지만 이씨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본사에서 초보 창업자들 지원을 잘 해준다는 점과 브랜드의 힘을 생각해 프랜차이즈 쪽으로 길을 잡았다”고 말했다.

 이씨처럼 개인 빵집을 낼 기술이 충분한 이들조차 프랜차이즈를 선호하는 게 엄연한 현실이다. 별 기술 없이 직장에서 은퇴해 빵집을 차리려는 이들은 더 그렇다. 그러나 요즘의 움직임은 이들의 선택권을 빼앗아가는 듯하다. “대기업 프랜차이즈 때문에 동네 빵집들이 말라죽는다”는 소리에 눌려서다. 지난달 말 중소기업청이 주최한 동네 빵집 대표들과의 간담회에서는 “전통시장 인근에 대형마트 진입을 불허하는 것처럼 동네 빵집 주변에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문을 여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요구까지 나왔다. 한 프랜차이즈 본사의 간부는 “종전에는 한 달에 20~30개 점포를 냈으나 최근에는 이것 저것 살피느라 3, 4개를 신설하는 정도”라고 말했다.

 사실 동네 빵집이 많이 줄기는 했다. 2008년 8153개에서 지난해 5184개로 3년 새 3000개가 줄었다. 하지만 이게 전부 대기업 프랜차이즈 때문일까. 그렇지 않다. 오히려 경기 영향이 크다. 동네 빵집은 금융위기의 여파에 허덕인 2009년 한 해에만 약 2500개가 감소했다. 경기가 살아난 2010년에는 반대로 100개가량이 늘었다. 물론 프랜차이즈 빵집이 인근에 생기면 터줏대감들이 압박을 받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동네 빵집 경영에는 경기의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숫자가 입증하는데도 프랜차이즈에만 화살을 돌리는 것은 온당치 않다.

 프랜차이즈 빵집이 위축되면 일자리에도 영향이 생긴다. 소상공인진흥원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빵집들은 2010~2011년 2년간 1231개가 더 생기며 약 4800개 일자리를 제공했다. 그 사이 동네 빵집이 문을 닫아 없어진 1390개보다 훨씬 많은 일자리를 창출했다.

 창업자들이 원하고, 일자리도 만들어내고. 이런데도 프랜차이즈 빵집을 ‘동네 빵집 킬러’로 몰아붙여 사업을 위축시키는 것은 오히려 역효과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그보다는 어떻게 동네 빵집의 경쟁력을 높일지, 묘수 찾기에 골몰해야 할 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