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적 32.95㎢ → 5.3㎢ 무안기업도시 사라지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무안기업도시 개발은 전남 무안군의 최대 현안이다. 그러나 4·11 보궐선거에서 당선한 김철주(55) 무안군수는 선거 이튿날 취임식에서 기업도시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 기자회견에서도 “지역민들의 숙원사업이지만, 그 동안 어떻게 진행되고 있었는지 정확히 모른다. 신중하게 판단해 추진 방향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조심스런 입장을 보인 것이다.

 무안기업도시는 과연 개발될 수 있을까. 무안기업도시는 2005년 7월 노무현 정부가 산업교역형 기업도시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했다. 당초 개발하기로 한 면적은 국내단지 15.25㎢와 한중국제산업단지 17.7㎢ 등 총 32.95㎢. 무안군 전체 면적 447㎢의 7.3%에 해당한다. 그러나 7년 가까이 지난 지금 국내단지 개발은 완전히 물 건너 갔다. 한국과 중국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 한중국제산단 개발도 불투명하다.

 한중국제산단은 무안읍·현경면·청계면 17.7㎢(536만평)을 2012년까지 개발, 산업단지와 차이나시티·도매유통단지·국제대학단지 등을 조성해 2025년까지 약 5만명이 상주하는 도시를 건설할 계획이었다. 2008년 두 나라의 출자 회사들이 자본금 1537억원을 모두 납입하고 2009년 1월 국토해양부로부터 개발계획 승인을 받았다.

 하지만 국제금융 위기와 경기 침체로 1조7000억원 규모의 PF(프로젝트 파이낸싱)에 실패했고, 중국 측과 합의해 2009년 12월 사업 면적을 기업도시법의 최소 면적인 5.3㎢(150만평)로 줄였다. 2015년까지 개발해 2만여명이 거주하는 기업도시를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사업 규모를 대폭 축소했음에도 개발계획 변경작업이 용역비 부담, 용역업체 선정 등을 두고 중국 출자 회사와 줄다리기 등으로 계속 지연됐다. 급기야 지난 2월 개발을 주도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인 한중도시개발의 지분 51%를 보유한 중국 자본이 사업성이 불확실하다며 철수를 결정했다.

 현 상황에 대해 무안군 기업도시건설지원단의 한승환 기획총괄담당은 “한중도시개발의 출자 회사가 여럿인데 청산에 반대하는 회사는 남고, 빠져 나가는 회사들의 지분에 대해 새 투자자를 찾고 있다”고 했다. 그는 “빠져 나가는 쪽을 그간 쓴 비용을 포함해 팔려 하고, 새로 들어오는 쪽은 비용을 털어 버리고 인수하려 하는데 그 격차가 커 새 출자 회사를 찾는 게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서충석(66) 주민피해보상대책위원장은 “정부가 밀어주는 것도 아니고, 위치가 더 좋은 산업단지가 전국에 널려 있는 판에 어느 기업이 무안까지 오겠느냐”고 반문했다. 그는 “장기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채 개발되지 않아 주민들이 엄청난 피해를 당하고 있지만, 시끄럽게 떠들면 악영향을 끼쳐 자칫 5.3㎢의 개발마저 무산될까 봐서 정면으로 나서 싸우지도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