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청년 창업으로 일자리 1300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28일 낮 12시50분쯤 대전시청 로비에 있는 ‘건강카페’에 점심을 마치고 커피 등 음료를 마시려는 시민 50여 명이 몰렸다. 음료와 빵 등을 파는 이 카페의 하루 매출액은 70만∼80만원으로 시내 번화가 업소 못지않다. 장애인 8명이 종업원으로 근무하는 이 카페는 대전시가 만들어 사회단체에 운영을 위탁한 사회적기업이다. 건강카페는 대전에 있는 사회적기업 53개 중 대표적인 성공 사례다.

 대전시가 올해 이 같은 사회적기업 12곳을 새로 육성한다.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다.

 대전시는 1월 예비적 사회기업으로 선정된 12곳에 대해 1곳당 시설비 등 경영자금 2억원을 지원한다. 시가 이들 사회적기업에 지원하는 올해 예산은 기존 53곳 등 모두 65곳에 44억원이다. 업종은 사단법인 형태의 환자 간병 등 의료분야와 농특산물 생산하는 영농조합 등이다. 이들 기업의 고용인원은 장애인, 65세 이상 노인 등 취약계층 800여 명에 이른다. 지원기간은 5년까지며 1년 단위로 기업의 성과에 따라 연장된다.

 대전시 한만대 일자리추진기획단 담당은 “담보능력이 없어 금융기관에서 대출 받기가 어려운 사회적기업은 이익 창출보다는 일자리를 만드는 것이 우선”이라고 말했다.

 대전시는 ‘대학 및 청년창업 500 프로젝트’도 본격 추진한다.

 시는 매년 100개씩 선정해 지원하는 ‘대학창업 300프로젝트 사업’을 올해부터는 ‘대학·청년창업 500프로젝트’로 확대키로 했다. 이에 따라 올해는 대학(원)생 창업 100개와 청년창업 50개를 각각 지원할 방침이다. 시는 이들의 창업으로 인해 500여 명의 일자리가 늘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선정되면 700만원에서 최대 2000만원까지 창업지원금을 받게 되며 창업교육, 사업화 컨설팅, 경영, 판로, 마케팅 지원 혜택이 따른다.

 시는 대학(원)창업은 다음달 20일까지 신청을 받아 5월 중 선정하고, 청년창업은 7월쯤 창업아이템을 공모해 시행할 계획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