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세대, FTA 재협상 58% … 탈북자 북송 반대 82%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4·11 총선 공식 선거운동 시작을 하루 앞둔 28일 부산역 광장에서 부산시선관위 주최로 ‘우리 동네 투표참여 홍보단’ 발대식이 열렸다. 최예식 부산시선관위 상임위원, 홍동진 부산시선관위 직원, 정용규 부산시 투표참여 홍보위원 대표(왼쪽부터)가 투표율 대박 타기 퍼포먼스를 펼치고 있다. [송봉근 기자]

20~40대(2040세대)의 표심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두드러지더니 지난해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도 그 영향력을 다시 입증했다. 이제 관심은 2040세대의 표심이 총선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까다. 중앙일보와 한국정치학회(회장 김호섭)·중앙선거관리위원회(위원장 김능환)가 이들의 투표 행태를 분석하는 ‘4·11 총선, 2040세대의 표심은’을 공동으로 기획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해선 ‘재협상’, 탈북자 북송을 막기 위해선 ‘적극 노력’. 중앙일보가 한국정치학회 가상준 단국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실시한 ‘2040세대 정치의식 조사’에서 드러난 이들 세대의 인식이다.

 ‘한·미 FTA에 대해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에 ‘2040세대’의 57.8%가 ‘재협상해야 한다’고 답했다. 또 13.9%가 ‘폐지해야 한다’고 했다. 특히 20대는 62.9%가 ‘재협상해야 한다’, 17.2%가 ‘폐지해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50대 이상에선 ‘재협상해야 한다’는 답변이 32.1%,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6.1%에 그쳤다.

 탈북자 강제 북송과 관련, 조사 대상자들에게 ‘①북한·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관여해선 안 된다 ②탈북자 북송을 막기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한 결과 2040세대의 82.3%가 ②번을 택했다. 50대 이상에서도 82.1%가 ②번을 골랐다. 두 세대 모두 북한·중국과의 관계보다는 탈북자들을 희망에 따라 북송을 막는 노력이 우선이라는 의견이다.

 제주 해군기지 건설 문제를 놓고선 ‘건설 찬성’이 42.7%, ‘건설 반대’가 41.5%로 팽팽했다. 50대 이상에선 71.4%가 ‘건설 찬성’이었고, 12.6%만이 ‘건설 반대’였다. 가상준 교수는 “한·미 관계와 경제적 문제가 얽혀 있는 한·미 FTA, 그리고 인권과 관련된 탈북자 문제로 2040세대의 성향을 본다면 안철수 교수(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코드가 읽힌다”고 평가했다. 안 원장은 최근 탈북자 북송 반대시위 현장을 잠시 방문한 적이 있다.

 이와 함께 정치 참여 의지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사람이 투표하기 때문에 내 투표는 중요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동의하느냐’고 물었더니 2040세대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이 73.9%였다. 50대는 ‘동의하지 않는다’가 66%였다. 이 물음에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이 높아야 정치 효능(效能)감이 높은 세대로 해석된다. 효능감이 높으면 선거 참여 가능성도 크다. 또 ‘투표만이 정부가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해 말하는 유일한 방법인가’라는 물음에 2040세대는 ‘동의하지 않는다’가 31.5%였고 50대 이상은 18%였다. ‘동의하지 않는 편’이 정치 효능감이 높다는 의미인데, 이 문항에 동의하지 않는 이들이 투표뿐 아니라 인터넷 등을 통해서도 활발하게 정치 현안에 참여하기 때문이다. 가 교수는 “정치 효능감의 증가는 정치 참여의 확대로 연결된다”고 진단했다.

◆정치 효능감(Political Efficacy)=자신의 정치적 활동이 정부나 정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의식이나 믿음을 말한다. 정치 효능감은 정치 참여, 특히 선거와 연관성이 크다 . 정치 효능감이 높은 사람이 투표에 참여할 가능성도 크다는 것이다.

주요 이슈에 대한 의견

◆ 한·미 FTA

- 20~40대 : 폐지 13.9% 재협상 57.8% 유지 20.8%
- 50대 이상 : 폐지 6.1% 재협상 32.1% 유지 53.9%

◆ 탈북자 국내 송환

- 북한·중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관여해선 안 된다
20~40대 14.8% 50대 이상 14.0%

- 탈북자 북송을 막기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
20~40대 82.3% 50대 이상 82.1%

중앙일보 총선홈 지역구별 후보자 상세정보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