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출신 박근혜 “과학기술 전담 부처 만들어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28일 “각 부처에 혼재된 과학기술 정책을 통합 조정하기 위해 과학기술 전담 부처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2008년 과학기술부를 해체하고 교육과학기술부를 출범시킨 이명박 정부와 차별화된 구상을 내놓은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이날 ‘과학기술의 융합과 산업화를 통한 창의국가’ 세미나에서 자신의 과학기술 정책 구상을 발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박 전 대표는 “국정 운영이 과학기술 중심이 돼야 한다”며 “(박정희 전 대통령 시절) 처음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세울 때 과학기술 5개년 계획을 동시에 세웠다. 현재 제 역할을 못 하는 ‘과학기술 기본계획’이 (정부 내에서) 최상의 위치를 갖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우리 과학기술인들을 생각하면 가슴이 뭉클하다. 과거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를 세울 때 안정된 생활을 포기하고 귀국해 헌신하는 등 우리 제품이 세계적 경쟁력을 갖게 만든 장본인들이다. 과학기술인의 꿈과 열정, 헌신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대한민국은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했다. 서강대 전자공학과 출신인 그는 “이공계 출신의 공직 진출을 확대하고 기업들이 이공계 출신을 더 많이 채용하도록 해야 한다”고도 했다. 박 전 대표의 과학기술 자문교수들은 “전국 703개 공공도서관에 ‘무한상상실’을 운영해 상상·연구·개발의 선순환모델을 만들자”(윤종록 연세대 교수) 등의 제안을 내놨다.

 백일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