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 전송용량부족으로 어려움겪어

중앙일보

입력

케이블TV의 채널수가 급증하는 것에 비해 이를 전송할 전송망의 용량이 부족해 지역방송국(SO) 등 케이블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현재 한국통신과 전송망 계약을 맺고 있는 21개 SO 등 상당수 SO들은 450㎒의 전송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같은 주파대역으로 전송할 수 있는 채널은 최대 61개. 그러나 지상파 채널 6개, 국내위성채널 4개, 외국위성채널 4개, 지상파 중복전송채널 6개, ITV(경인방송) 및 지역민방, 지역채널 각 1개를 합쳐 23개 채널을 빼면 실제로 케이블 프로그램공급자(PP)용으로 쓸 수 있는 채널은 38개 뿐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 5월 15개 신규 PP채널이 허가되면서 PP용 채널은 기존의 29개를 포함해 44개로 늘어났다.

최근 개국한 요리채널과 와우와우 등 2개 채널을 포함해 오는 8∼9월로 예정된 나머지 신규채널이 개국하면 전송망의 용량 부족으로 경쟁력 없는 채널은 일부 도태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내년부터 PP 등록제가 시행되면 신규 채널이 우후죽순처럼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의 전송망 용량은 이미 한계를 넘어서 포화상태에 이르렀기 때문에 채널 확보를 위한 PP들의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채널을 확보하기 위해 오락성을 강화하는 등 프로그램의 저질화도 우려된다.

늘어나는 채널을 수용하기 위해 SO들은 전송망을 750㎒ 수준으로 업그레이드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전송망을 업그레이드 하는데 드는 비용이 전송망을 새로 설치하는 비용과 맞먹는 수준이어서 SO들은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지역 SO의 경우 기존의 450㎒의 전송망을 750㎒로 업그레이드 하는데 SO당 50억원 정도의 비용이 들 것으로 추산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SO들은 자본금 규모에 이르는 이같은 막대한 비용을 새롭게 투자할 여력이 없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양천SO의 조재구 사장은 "정부가 새로운 채널정책에 맞춰 전송정책도 바꿔야 하는데 현재로선 채널수만 늘려놓고 후속조치가 아무 것도 없다"며 정부의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케이블TV협회의 한상혁 과장은 "한국통신이 전송망을 SO들에게 매각하려는 협상을 진행중인 상황이어서 SO들이 전송망에 투자해야할 부담이 너무 커지고 있다"면서 "정부에서 전송망 매입과 업그레이드에 드는 비용을 SO에 저리 융자하는 등 지원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