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마아파트 49층 재건축 꼬이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4400여 가구의 대단지로 시가총액이 4조4000여억원에 달하는 매머드급 아파트가 재건축 윤곽을 드러낸다. 강남권 재건축 대장주로 꼽히는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다. 하지만 주민들이 구청의 재건축 계획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어 계획이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주민이 이날 구청을 항의 방문하는 등 반발이 거세지자 구청은 공람 연기와 재건축 계획 변경을 검토키로 했다. 주택형·가구수·임대주택 등이 바뀔 수 있는 것이다.

 강남구청은 18일부터 은마아파트 재건축 계획안에 대해 주민공람에 들어간다고 14일 밝혔다. 1999년 재건축을 시작한 지 12년 만에 밑그림이 그려진 것이다. 지난해 8월 발주된 재건축 계획 수립 용역을 거쳐 마련된 구청의 계획안에 따르면 현재 102~112㎡형(이하 공급면적) 4424가구가 49~135㎡형 5598가구로 다시 지어진다. 49㎡형 1008가구는 임대주택이다. 조합원 몫을 제외한 일반분양분은 166가구다.

 주민들의 기존 주택 크기가 8~23㎡ 더 커진다. 집이 넓어지면서 14층이던 최고 층수가 49층으로 올라가며 초고층화한다.

 강남구청 안대로 재건축할 경우 주민들이 내야 하는 추가부담금은 가구당 3억원 정도로 예상된다. J&K부동산투자연구소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기존 102㎡형이 114㎡형을 배정받는 데 2억3000만원, 112㎡형이 135㎡형으로 가는 데 4억1000만원이 필요하다.

 J&K부동산투자연구소 권순형 소장은 “주변 아파트값이 많이 오르면 일반분양 수입이 늘기 때문에 추가부담금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대치동 서울공인 최충현 사장은 “대치동에서 가장 비싼 아파트의 하나인 센트레빌 시세와 비교하면 지금 투자해도 1억~2억원 정도 이익을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은마 재건축이 가라앉은 재건축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나비에셋 곽창석 사장은 “워낙 덩치가 큰 재건축 선두주자여서 사업 활기로 은마 시세가 꿈틀대면 다른 재건축 단지들도 활기를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대치동 부동산센스공인 강희구 사장은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새 서울시장이 후보시절부터 재건축에 대해서 부정적이라 수요가 몰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은마 재건축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구청의 이번 계획에 대한 주민 반발이 크다. 이정돈 재건축추진위원장은 “일대일 방식이나 용적률이 높은 역세권 개발 등을 고려하고 있는데 주민과 상의 없이 시프트를 1000가구 넘게 배정한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구청 계획안은 상가를 포함해 재건축 계획을 세웠지만 상가 주인들과 아파트 주인들 간 재건축 방식을 둘러싼 갈등이 남아있다.

 49층 초고층이 가능할지도 미지수다. 서울시는 한강변에서 사업부지의 25% 이상을 기부채납(공공용지로 무상 제공)하는 조건으로 초고층 재건축을 허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은마의 기부채납 비율은 10%다. 강남구 개포지구 재건축 단지들도 당초 초고층 재건축 계획을 세웠으나 서울시의 반대에 부딪혀 최고 35층으로 계획을 수정했다.

최현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