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푸단대서 1년간 공부 … 전공은 외국인 교수가 강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장궈요우
중국대학원장


성균관대는 중국 분야 특화 전문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성균관대는 현대중국 전문 핵심교육과 연구기관을 목표로 2005년 9월 중국대학원을 국내 최초로 개원했다. 중국대학원은 중국경제관리학과를 개설하고 베이징대 광화경영대학원(CHINA MBA과정), 푸단대 경제대학원(CHINA MBE과정) 등 중국 명문 학부와 손잡고 중국경제·경영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중국대학원은 2006년에 베이징대 광화경영대학원과 학생 교류를 시작해 국내 처음으로 2008년 광화경영대학원 MBA과정 복수학위 협정을 체결했다. 2007년부터 복단대 경제대학원 세계경제학 전공 복수학위 협정도 체결해 시행 중이다.

 학생들은 1년은 한국 성균관대에서, 1년은 베이징대 광화경영대학원 혹은 푸단대 경제대학원에서 수업을 듣는다. 이런 1+1 교육을 통해 중국 인재들과 경쟁하고 협력하면서 중국사회를 체험하고 인적 네트워크도 구축할 수 있다.

 중국대학원 커리큘럼은 경제·경영전공, 실무지식, 현장감각을 모두 체득할 수 있도록 짜여있다. 입학 전부터 신입생을 대상으로 한 기업 신입사원 연수교육과 유사한 Pioneer Course, 전공이 다양한 신입생들의 수준을 맞추기 위한 Pre-school, 체계적으로 중국경제·경영을 이해하기 위한 전공기초과정, 중국협력대학에서 진행하는 전공 심화과정, 중국경제·경영 관련 지식을 집대성한 전공응용과정과 중국지역 현장체험과정 등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중국협력대학 파견 전 진행되는 중국비즈니스 체험연구과정은 중국에서 기업방문, 특강, 학생들의 현지조사와 사례발표로 이뤄져 실무문제 해결능력을 키워주는 교과과정으로 주목 받고 있다.

베이징대 광화경영대학원, 푸단대 경제대학, 상해교통대 안태경영대학원 등의 경제·경영분야 교수진을 초빙해 최고 수준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전공 교수진은 중국·미국 등 외국인으로 구성돼 있다. 모든 강의는 중국어나 영어로 이뤄진다. 외국어만 사용하는 글로벌 존을 만들어 일상에서도 외국어 활용 능력 계발을 돕고 있다.

중국경제관리학과는 중국경제·경영전문가 10만 명 양성을 목표로 이론·실무·현지조사·토론 위주의 교육과정을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 이 같은 능력을 기르기 위해 입학생들 중엔 대기업을 그만두고 오는 이들도 많을 정도다. 중국대학원은 입학생의 경력관리를 통해 계획된 교육목적을 이룰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이에 힘입어 졸업생들은 삼성전자·현대자동차·LG디스플레이·SK가스 등 대기업과 금융권을 비롯해, 외교통상부, KOTRA, 인천국제공항공사, 환경산업기술원 등 정부와 공기업의 중국금융전문가, 중국지역 마케팅 전문가, 중국지역 컨설턴트, 중국경제 전문연구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베이징대학 박사과정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전 세계 동문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중국 관련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성균관대 중국대학원은 봄학기 신입생을 모집한다. 1차는 마감됐고 2차(10월 27일~11월 3일)와 3차(12월 2~6일)에 원서를 접수한다. 다음달 28일 성균관대 국제관에서 입학설명회를 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