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북 저작권 보호대책 시급"

중앙일보

입력

전자책(e-book)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침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관련법이 정비돼야 하며 전자책에대한 표준화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문화관광부 주최로 17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디지털시대의 전자책 발전방향'' 심포지엄에서 ''전자책의 현황과 발전방향''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박근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전자책은 매체가 컴퓨터 파일로 존재하기 때문에 정보를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한 대신 적은 비용으로도 무단 복제가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그는 "무단복제에 대해 경고하거나 추후에 추적하는 수준을 넘어 복제된콘텐츠를 원칙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수준까지 저작권 보호가 이뤄져야만 전자책을정착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박 교수는 또 " 미국의 소설가 스티븐 킹이 출판한 전자책이 해킹당했으나 재빠른 대응으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다"며 "기술적인 보안체계가 공격을 당했을 경우많은 비용을 들이지 않고 새로운 보안체계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중복 투자를 막고 효율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책 데이터 및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요소들에 대한 정부와 업계의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종수 한국출판연구소 상임연구위원은 ''전자책 활성화를 위한 출판계 대응전략''이란 주제논문을 통해 "디지털 인쇄매체는 지금의 종이책처럼 누구나 설명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하고 휴대가 간편하며 화면이 종이책에 못지 않아야 한다"고주장했다.

그는 "출판계 대응전략의 핵심은 콘텐츠를 최대한 전자북에 담아 인터넷에 의존하지 않고도 독자들이 판독기를 통해 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강조한 뒤 "일본의 경우처럼 관련업계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연구에 나설 것"을 제안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