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부 공무원 ‘현’관예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공직자들의 민간 교류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고용휴직’ 제도로 대학 등에 취업해 억대 연봉을 챙겨온 공무원들의 행태가 19일 교육과학기술부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다. 고용휴직은 공무원 신분을 유지한 채 2년간 휴직할 수 있는 제도다. 휴직 중 민간 부문 취업이 가능하다.

 김유정 민주당 의원은 “2008년부터 올 8월까지 고용휴직을 한 교과부 직원 107명 중 90명이 대학과 연구소 등에 취업했고 일부는 억대 연봉을 받았다”며 “유관기관에서 불법·부당한 로비활동을 벌인 것은 아닌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A국장은 휴직 전 연봉(8170만원)보다 47%(3830만원) 많은 1억2000만원을 받고 1년간 공주대 산학협력단 연구협력본부장으로 취업했다. 주 2~3일 근무에 월 1000만원을 받는 계약조건이다. 특히 산학협력단 기여도를 평가해 연 340만원의 성과급을 받고, 100억원 이상 규모의 사업을 유치하면 특별성과급을 받기로 계약했다. B서기관은 극동대 초빙교수로 주당 9시간 근무에 연봉 6960만원의 고용계약을 맺었다. 그는 4학기 동안 2학점짜리 야간 강의 한 과목을 담당했다. C과장은 우송대 초빙교수로 휴직 전 연봉(6684만원)보다 많은 8549만원에 고용계약을 맺고 3학점짜리 한 과목을 강의했다.

 민간 연구소인 포항가속기연구소와 한국파스퇴르연구소에도 7명이 고용휴직 후 취업해 자문 역할을 했다. 이들은 휴직 전보다 1인당 평균 3647만원의 연봉이 증가했다. 김유정 의원은 “공식 직함은 교수, 자문위원이지만 실제로는 교과부의 각종 국가 사업을 따오는 영업이사와 다를 바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주호 교과부 장관은 “국립대와 사립대 중 재정지원 제한 대학은 고용휴직 대상에서 제외하겠다”고 답변했다.

윤석만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