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신규 채용 때 지방대생 30% 뽑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공공기관에 취업하는 지방대 졸업자가 늘어날 전망이다. 그간 지방대 출신 채용에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던 일부 공기업·공공기관들이 늦어도 2013년까지는 신규 채용 인력 중 적어도 30% 이상을 지역 인재로 채우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채용 목표제, 전형 시 가점 부여, 지사 근무 인원 채용 시 해당 지역 출신 우대 등 다양한 수단이 활용된다.

 기획재정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의 ‘공생발전을 위한 공공기관 지역 인재 채용 확대 계획’을 확정해 내놨다. 정부가 말하는 ‘지역 인재’는 최종 학력지가 수도권이 아닌 경우다. 서울 출신으로 지방대를 졸업한 경우에는 해당이 되지만, 반대로 지방 출신으로 수도권 내 대학을 졸업한 경우는 제외된다. 재정부 김현수 인재경영과장은 “취업에 애로를 겪고 있는 지방 소재 학교 출신들에 활로를 뚫어주고, 지방 인재들의 수도권 대학 쏠림 현상도 완화하자는 목적이 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109개 전체 공공기관의 지역 인재 채용비율은 올 상반기 기준으로 51.3%다. 이번에 채용 확대에 나서는 곳은 최근 3년간 평균 채용 비율이 30%에 못 미치는 42곳이다. 이 중 인천국제공항공사·동서발전·장학재단·기술보증기금 등 13개 기관은 당장 올 하반기까지 30%를 채우겠다고 밝혔다. 마사회·신용보증기금·주택금융공사 등 7곳은 내년 상반기까지, 인천항만공사·자산관리공사·시설안전공단 등 7곳은 내년 하반기에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한국거래소·예금보험공사·농수산물유통공사 등 15곳은 지역 인재의 채용을 점차 늘려 2013년 상반기까지 30% 이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각 기관은 ▶채용목표제 운영 ▶가점 부여 ▶지역별 모집 ▶추천 채용 등의 방식으로 지역 인재 채용을 늘리게 된다. 동서발전은 지역 인재 채용 목표를 20%에서 30%로, 주택금융공사는 20%에서 40%로 높인다. 자산관리공사는 서류·필기 전형 결과 지역 인재가 30%에 못 미칠 경우 추가로 합격자를 뽑아 목표를 채우는 방안도 내놓았다.

 KOTRA와 장학재단은 지역 인재에 만점의 5%를 가점으로 부여하고, 농수산물유통공사는 농어촌 출신에게 가점을 준다. 국민연금공단·우체국예금보험지원단은 지사에서 근무할 인원을 뽑을 때 지역별 모집을 통해 해당 지역 인재를 우선 채용한다. 예금보험공사는 추천제를 활용, 지방대학 총장 추천을 받거나 학점이 우수한 경우 서류전형 때 가점을 준다. 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등 지방 이전을 앞두고 있는 공공기관들은 옮겨가는 지역의 인재를 우선 채용할 계획이다.

조민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