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조현욱의 과학 산책

그들은 모두 어디 있는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조현욱
객원 과학전문기자
코메디닷컴 콘텐츠
본부장

우리가 속한 은하(밤하늘의 은하수) 내에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갖춘 행성은 얼마나 될까. 400만~1000억 개로 추산된다. 이 중에는 지구에서처럼 생명이 탄생한 곳도 적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우리 은하계가 생성된 것은 100 억 년 전이다. 일부 외계 행성에서 지능이 진화해 고도의 과학문명을 건설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그런 문명은 불과 몇 억년 지나지 않아 은하 전체를 식민지로 만들 수 있을 터이다. 많은 과학자가 그렇게 믿고 있다. 지구의 경우 그들이 만든 ‘폰 노이만 기계’라도 도착했어야 한다. 수학자이자 공학자인 창안자의 이름을 딴 이 기계는 주변 자원을 이용해 스스로를 복제하면서 광대한 우주의 구석구석을 탐사할 수 있다.

 여기서 의문이 제기된다. “그들은 모두 어디 있는가?” 이는 ‘페르미 역설’이라 불린다. 1950년 이를 처음 제기한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1938년 노벨상 수상)의 이름을 딴 것이다. 역설이라 불리는 것은 외계 문명의 증거가 발견돼야 마땅한데 그렇지 못하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한 답변 중 눈길을 끄는 것은 ‘문명의 수명’에 관한 것이다. 인류 문명을 예로 들어 보자.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핵탄두는 2만6000여 개, 65억 인구를 몇 차례 멸절시키고도 남을 숫자다. 앞으로 수소폭탄의 100배 위력을 지닌 반물질폭탄도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인류는 실험실에서 반수소·반헬륨 등의 반물질을 이미 만들어 냈다). 우리가 외계 문명을 발견하지 못하는 것은 모두가 몇 억년 버티지 못하고 이미 멸망했기 때문이 아닐까. 우주는 거대한 공동묘지일 가능성도 있다. 인류의 외계지능탐사(SETI)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 때문일지도 모른다.

 마침 세티연구소(SETI INSTITUTE·www.seti.org)의 탐사활동이 올 9월 재개된다는 소식이 최근 발표됐다. 연구소는 84년 설립된 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미국과학재단 등의 후원을 받으며 외계 문명이 보내올 가능성이 있는 전파신호를 수신·분석해 왔다. 하지만 지난 4월 자금난으로 전파망원경 가동을 중지했다가 자체 모금을 통해 이번에 재기한 것이다. 이 연구소에서 외계 문명이 멀쩡히 발전하고 있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전한 문명이 반드시 멸망하는 것은 아니라는 증거 말이다.

조현욱 객원 과학전문기자·코메디닷컴 콘텐츠본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