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 골드플랜 연금전환’ 펀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우리나라는 작년 말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11.3%를 차지해 이미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오는 2020년에 가면 그 비중은 14.4%로 높아져 ‘고령 사회’로, 2026년경엔 20%를 넘어 ‘초고령 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언론에서도 툭하면 고령 사회와 관련된 여러가지 이슈들을 보도하고 있다.

“베이비부머 68.2% 노후준비 않고 있다”

 하지만 고령 시대를 맞이하고서도 정작 노후에 대비한 생활비 준비는 하지 않고 있다는 사람이 68.2%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결과는 국민연금에서 발간한 ‘2009년도 우리나라 중·고령자의 경제생활 및 노후준비 실태’라는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이는 은퇴를 앞두거나 이미 은퇴생활 중인 베이비부머(55~63년) 10명 가운데 7명은 노후 준비를 하지 않고 있다는 뜻이 된다.

 국민연금이 이들을 위한 노후 수단으로 완벽하게 기능을 한다면 문제될 게 없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국민연금의 역할이 최소한의 생계 유지를 돕는 데에 있지 풍요로운 생활 수준을 보장하는 건 아니기 때문이다. 즉, 기본 생계 유지뿐만 아니라 여유로운 노후생활을 보장 받기 위해서는 국민연금 외에도 개인의 직업, 경제력 등에 따라 개인연금인 연금저축을 지금부터라도 챙기는 게 지혜라는 얘기다.

 연금저축은 만 18세 이상이 가입할 수 있는 상품이다. 현재 가입할 수 있는 금융상품 중유일하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최소 적립기간은 10년이며, 최소 적립기간 만료 후 만 55세 이후부터 5년 이상 연금을 수령 받는다.
 
올해부터 연 400만원까지 소득공제 혜택

 또한 퇴직연금과 합산해 올해부터 불입액의 100%, 연 400만 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작년까지 연 300만 원 한도에서 올해는 연 400만 원으로 한도가 100만 원 늘었다. 단, 분기별 최고 불입액이 300만 원인만큼 늦어도 3분기, 즉 9월 이전부터 불입했을 때 연 400만 원 모두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게 된다. 가입한 자영업자나 직장인들은 연말 정산시 절세효과를 누리며, 연금 수령 때까지 세금 징수도 되지 않아 세금이 이연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는다. 연금저축은 가입기관이나 투자형태에 따라 크게 신탁, 보험, 펀드 등으로 나뉜다. 증권사에서만 판매되는 연금저축펀드는 실적 배당형 상품이다. 대표적으로 ‘한국투자 골드플랜 연금전환’ 시리즈 펀드를 꼽을 수 있다. 이 상품은 소득공제 혜택은 물론 펀드간 전환권이 부여돼 시장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전환 가능한 펀드로는 국공채·채권·주식혼합·주식·네비게이터 주식·차이나 주식·글로벌 이머징 주식·브릭스 주식 등에 투자하는 총 8개 펀드가 라인업돼 있다.

신규고객에 도서상품권, 계약이전해도 기념품

 한국투자증권은 이달 말까지 한국운용과 한국밸류운용에서 운용하는 퇴직연금펀드에 매달 25만 원 이상 자동이체하는 신규 고객에게 도서상품권을, 타사에서 계약 이전만 해도 금액별로 기념품을 제공하고 있어 주목된다. 노후 준비는 지금부터 노후까지 길게 바라보고 계획해야만 하는 평생의 숙제다. 연말이 점차 다가오는 요즘,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금융상품을 하나씩 점검해 보는 것도 지혜다. 그런 점에서 세테크와 노후준비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도록 안내하는 연금저축이 대안이 될 수 있다. 자세한사항은 전국 한국투자증권 영업점이나 홈페이지(www.truefriend.com), 고객센터(1544-5000/ 1588-0012) 등을 통해 알아보면 된다.

<성태원 기자 seongtw@joongang.co.kr 일러스트="이말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