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열린 광장

사교육비 부담 제대로 줄이려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9면

박경실
파고다아카데미 회장

최근 개정된 학원법은 학원 수강료에 기타 경비를 포함해 ‘교습비 등’으로 통칭한다. 수강료 편법 인상을 억제한다는 이유에서다. 또 교육청에 통보된 수강료를 초과 징수할 경우 ‘학파라치’ 등이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학원계에선 할 말이 많다.

 무엇보다 수강료 책정 과정에 대한 불만과 아쉬움이 크다. 현행법상 학원 수강료는 학원장들이 결정할 수 있도록 돼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각 교육청 내의 수강료 조정위원회라는 조직이 각급 학원의 수강료 가이드라인을 설정한다. 이 가이드라인을 초과하는 경우 수강료 신고를 받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개별 학원은 수강료 조정위원회의 가이드라인에 맞춰 수강료를 받을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문제는 수강료 조정위원회가 정부의 물가정책을 의식해 소비자 친화적으로만 수강료를 책정하기 일쑤여서 업계 현실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실제로 일반교과 학원의 수강료 전국 평균은 7만5000원(주 5일, 월 20시간, 하루 40분 기준) 선이다. 이런 수준의 수강료로는 고등학생을 가르치는 경우 강사 인건비에도 못 미치는 상황이다. 경영 자체가 어렵다는 얘기다. 이 때문에 일부 교육청은 공식화돼 있는 수강료 외에 기타경비를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2008년에 비해 올해 평균 수강료 기준은 입시가 7.3%, 외국어가 4.2%, 예능이 3.7% 인상됐다. 4년 동안 고작 평균 5% 인상된 것이다. 같은 기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감안하면 학원계가 왜 교과부의 정책에 강력히 반발하는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교과부가 법제화한 신고포상금제도(일명 학파라치)도 문제가 있다. 이전의 여타 신고포상금제도에서 경험한 바와 같이 실제적 규제보다는 직업적 신고꾼을 양성하는 효과밖에 내지 못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사교육비 경감은 어느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명제다. 그러나 정작 규제해야 할 대상은 정식으로 교육청에 등록하고 법의 테두리 안에서 정당하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원들이 아니라 밀실에 숨어 있는 초고액 과외와 미인가 교습소들이라는 것이다. 불법 교습소만 난립해선 교육의 질 하락은 물론 수강료 상승으로 인한 교육 소외계층이 증가할 뿐이다.

박경실 파고다아카데미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