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4분기 산업 경기는 반도체.자동차.조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자 등 주력 업종의 성장에 힘입어 전반적인 호전세가 예상되지만 수출 채산성은극도로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30일 발표한 `올해 1.4분기 산업 동향 및 2.4분기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반도체는 2.4분기중 PC 수요 급증 등으로 생산이 지난해 동기보다 34.9% 늘어날 전망이다.

조선 부문은 경쟁 상대인 일본에 대해 가격 경쟁력을 보유, 수주 및 건조 실적에서 지난해 동기보다 21% 가량 늘어나 최고치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자동차는 후속 신차 모델 출시 등으로 생산과 내수가 7.2-14.0% 가량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전자 부문은 정보 통신 기기 및 디지털 제품 수요 확대로 24.2% 가량 생산이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타이어와 공작 기계 등도 내수 판매가 20% 이상 늘 전망이다.

반면 건설은 여전히 침체 국면을 벗지 못해 2.4분기 성장률이 지난해보다 37.0%가량 오히려 낮아질 것으로 보이고 석유화학과 방직, 제당 부문 등도 성장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경련은 보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업종에서 원화 환율 절상과 고유가 등에 직면, 수출 채산성 악화가 우려되고 있다고 전경련은 말했다. 전자의 경우 적정 환율 1천194원, 마지노선 1천97원으로 만일 980원 이하가 되면 수출을 포기해야 할 것으로 파악됐다.

섬유는 비수기가 지속, 유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치 못하고 있으며 원화 환율 절상으로 수출 채산성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성용기자 = ksy@yonhapnews.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