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더 북한 사설

납북의 한 조금이라도 풀 수 있기를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6·25전쟁이 우리 사회에 남긴 상처들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중에 지금까지도 수많은 사람들의 애간장을 태우는 문제가 이산가족 문제다. 이산가족들 중 전쟁 중 월남한 사람들의 경우 극히 일부이긴 하지만 간간이 있은 남북 이산가족 상봉행사를 통해 재회의 기쁨을 나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런 장면을 보면 더욱 가슴이 찢어지는 사람들도 우리 사회엔 여전히 많다. 바로 전시(戰時) 또는 전후에 납북된 인사들의 가족들이다. 전후 납북 인사들에 대해선 정부 차원에서 그동안 보상 노력도 있고 성사는 안 됐지만 북측에 송환 요구도 제기하면서 다소나마 위로를 받을 수 있었다.

 여기서도 배제됐던 사람들이 바로 전시납북자(戰時拉北者) 가족들이다. 이들도 위로를 받을 수 있는 길이 처음 열렸다. 김황식 총리 주재로 2일 열린 ‘6·25 전쟁납북진상규명위원회’에서 처음으로 전시납북자로 인정된 55명의 가족들이 그들이다. 전시납북자는 모두 10만 명 정도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55명은 너무 적은 숫자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지 무려 58년 만에 처음으로 인정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는 작지 않다.

 전시납북자 가족들 중 상당수는 직간접적인 피해를 당하기도 했다. 특히 남북한 사이에 대립이 심하던 냉전 시기 이들 중 상당수는 정부 당국에 의해서건, 또 이웃 주민들에 의해서건 백안시(白眼視)되거나 심지어는 심각한 인권침해를 당하는 일도 있었다. 전쟁의 어수선함 속에서 가족 일원이 북으로 갔다는 사실만으로 어떤 경위로 갔는지는 제대로 따져보지도 않은 채 말이다. 북한 역시 납북 가족들을 상대로 북에 있는 가족을 인질 삼아 친북행위를 강요하는 악랄한 사례도 있었다.

 이번 정부의 공식 인정은 이들의 한을 풀어주기엔 정말 역부족일 것이다. 또 납북 사실이 인정됐더라도 그들의 생사 확인, 나아가 상봉 또는 송환의 가능성은 희박하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를 어찌해야 하나. 정부는 전시납북자 모두에 대해 납북 여부를 가리고 생사를 확인하는 등의 노력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전쟁의 한을 조금이나마 달랠 수 있도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