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국인 선원 교육기관 유치 경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4면

전국 해양 도시들의 ‘국제어업교류센터’ 유치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3월 유치 신청서를 낸 지방자치단체들은 외국인과 내국인 선원들의 전문 교육기관인 국제어업교류센터를 끌어오기 위해 치열한 물밑 작업을 벌이고 있다.

 농림수산식품부는 국내 어선의 선원 부족 현상을 해소하고 수산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국제어업교류센터를 만들기로 하고 후보지 선정 작업에 들어갔다. 부산 부경대학교에 의뢰한 연구용역을 토대로 다음달 14일 보고회를 갖고 입지 선정을 위한 현지 실사를 벌인다.

 국제어업교류센터는 내년부터 2014년까지 부지매입비 283억원을 포함해 총 605억원을 들여 건립된다. 센터는 연간 3800여 명의 외국인 및 내국인 선원들에 대해 국내 현장 적응 및 전문 어로기술 교육 등을 맡는다.

 유치를 희망한 지자체는 모두 7곳. 전남에서는 여수시·목포시·고흥군·신안군 등 4곳이 신청서를 냈다. 전북 군산시와 제주도(서귀포시 성산읍,제주시 구좌읍), 부산시(부경대 수산과학연구소, 수의과학검역원 영남지원)도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전남의 경우 여수시를 중심으로 활발한 유치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여수시는 수산인협회 주관으로 국제어업센터 유치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국회와 농식품부 등을 방문해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다. 여수시는 또 국제어업센터를 여수세계박람회장의 사후 활용 방안의 하나로 부각시키고 있다.

 목포시는 서남권의 어업 중심지라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북동 옛 신안군청 부지와 목포 북항 배후부지 등을 후보지로 신청해놓은 상태다.

 고흥군은 열악한 해양 관련 시설 확충 차원에서 센터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주현중 고흥군 해양수산과장은 “국제어업교류센터를 유치하면 지역 해양 시설 확충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동시에 꾀할 수 있는 만큼 유치작업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이번 국제어업센터 건립의 연구용역을 맡은 부경대의 ‘수산과학연구원’을 센터 후보지로 신청하는 등 뛰어난 입지조건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반면 다른 지자체들은 연근해 어업에 종사하는 선원들에 대한 교육시설은 부산이 아닌 다른 곳에 세워져야 한다는 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번 센터 건립의 취지가 원양 어업이 아닌 연근해 어업의 활성화에 있다는 점에서 이미 원양어업 교육시설이 있는 부산은 제외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경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