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철도 노선, 우리 지역으로”…대전 자치구 주민싸움 뜨겁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2면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노선을 놓고 자치구들이 유치 경쟁을 벌이고 있다. 사진은 대덕구(위)와 유성구(아래) 주민들이 노선 유치 염원을 담아 내 걸은 현수막. [프리랜서 김성태]


19일 오전 대전시 유성구 원촌·전민·관평동 도심 일대. 도시철도 2호선 노선을 유치하기 위한 현수막이 200개가 넘게 걸려있다.

 현수막은 “시장님! 전민동 주민도 대전시민입니다. 우리도 지하철을 다고 싶어요.!!!” 등 노선 유치 염원을 담은 내용 들이다.

 이같은 현수막 홍보전은 대덕구 도심도 마찬가지다. 대덕구 주민들은 덕암동 119안전센터 앞 등 도심 일대에 “대전도시철도 2호선 대덕구만 완전 소회!! 60㎞중 2.7㎞라니. 구민은 분노한다.”는 등의 현수막 100여 개를 내걸었다.

 대전 도시철도 2호선 노선 유치전이 각 자치구 주민들의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대전시는 4월 초 도시철도 2호선(37.2㎞) 기본 노선계획(안)을 진잠∼서대전 네거리∼대동 오거리∼중리 네거리∼도안신도시∼진잠을 연결하는 순환선으로 잠정 결정했다. 이같은 계획안이 발표되자 대덕·유성·서구 등 자치구들이 반반하고 나섰다. 자신들의 지역으로 노선을 끌어 들이기 위해서다.

 가장 먼저 반발한 구는 대덕구다. 대덕발전구민위원회 등은 도시철도 2호선 대덕구 노선 연장을 주장하는 구민 12만명의 서명이 담긴 건의서를 최근 대전시에 전달했다.

 이들은 건의문에서 2.7㎞밖에 안 되는 도시철도 2호선의 대덕구 경유 거리를 연장하고 2016년 이후로 계획된 국철 전철화 사업을 조기 착공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유성구 주민들도 “유성구 신동·둔곡동 지구가 과학벨트 거점지구로 결정된 만큼 앞으로의 유입 인구 등을 고려해 대덕 3,4공단과 테크노밸리, 대덕연구단지 등 대규모 기관·기업이 위치한 전민·구즉·관평동 지역이 도시철도 2호선 노선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서구 둔산동 주민들은 시의 현 계획안을 고수하고 있다. 서구 둔산동 주민들로 구성된‘도시철도 2호선 관철 추진협의회’는15일 대전시를 방문해 둔산동 주민 1만명의 날인이 담긴 서명서를 제출했다. 추진협의회 관계자는 “시가 추진하는 도시철도 2호선 계획변경안은 예비타당성 통과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며 “대덕·유성구의 요구대로 노선이 변경되면 우리(둔산동) 지역을 거치지 않을 수 있다는 주민 우려가 있어 서명이 진행됐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전시는 주민들의 요구를 모두 들어 줄 수 없다는 입장이다.

 최종 결정 전까지 공청회 개최 등 주민들의 요구에 귀기울이고 이를 최대한 반영, 노선을 확정한다는 복안이다.

 이에 대해 금홍섭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도시철도 2호선에 대해 지역주민들과 지방자치단체는 각자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지만 정치적 의도를 갖고 지역 주민이 동원되는 형태로 지역 여론이 전달되는 것은 올바른 여론 형성 과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글=서형식 기자
사진=프리랜서 김성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