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북송금 특검…거부권 행사하려 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친노무현계 차기 주자로 거론되고 있는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이 15일 저서 『문재인의 운명』(사진)을 출간한다.

 문 이사장은 책에서 참여정부 초기인 2003년 ‘대북 송금 특검’과 관련한 일화를 소개했다. 당시 민정수석이던 문 이사장은 “(국회가 제출한) 특검법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하고, 검찰에도 수사해선 안 된다는 ‘특별지시’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했었다”며 “노 대통령도 그렇게 하기로 했었다”고 밝혔다. 그러나 문 이사장은 “그러려면 대북송금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통치행위’였음을 인정해야 하는데, (이런 계획을 모른) 김 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대북송금을) 사전에 몰랐다’고 말해 특검을 수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했다. 그는 “이 문제로 김 전 대통령 측이 꽤 오래 서운해했다”고 회고했다.

 참여정부 첫 조각에 참여했던 그는 “당시 나는 강금실 변호사를 환경부 장관이나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생각했는데 노 대통령이 ‘법무장관으로 하자’고 해 깜짝 놀랐다”고 했다. 남성 전유물처럼 생각됐던 자리에 여성을 발탁해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한다. 2007년 4월 당시 정동영 열린우리당 전 의장과 노 대통령의 단독회동과 관련해선 “열린우리당의 분당 위기 속에 허심탄회한 대화로 오해를 풀기를 기대했는데 결국 정 전 의장이 탈당을 통보하는 모양새가 됐다. 노 대통령이 가장 큰 기대를 걸었던 그의 행보는 그분을 아프게 했다”고 썼다.

 2007년 10·4 남북 정상회담 당시엔 “육로로 군사분계선을 넘을 때 (그냥 넘는 게) 밋밋해 북측에 양해를 구한 뒤 분계선에 노란 선을 그어 도보로 넘는 방안을 마련했는데 ‘이벤트는 안 된다’는 노 대통령을 ‘북측과 이미 합의했다’고 보고해 겨우 설득했다”고 했다.

 노 전 대통령이 서거 직전 ‘박연차 게이트’로 검찰 소환조사를 받는 과정에선 “당시 이인규 중수부장이 대통령을 맞아 차를 한 잔 내놨는데 대단히 건방졌다. 말투는 공손했지만 태도엔 오만함과 거만함이 가득했다”고 적었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 직후 상황도 전했다. 그는 “시신을 보니 차마 표현하기 어려운 참혹한 모습이었다”며 “의료진에 얘기해 황급히 손을 써 찢어진 부분을 봉합하고 피를 닦아낸 뒤 권양숙 여사가 보도록 했다”고 썼다.

 그는 노 전 대통령 유서의 첫 문장인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신세를 졌다’는 구절은 (컴퓨터를 확인해 보니) 나중에 추가로 집어넣은 것이었다”며 “노 전 대통령은 마지막 순간에도 입력한 유서를 읽어보고 다시 손을 본 것”이라고 했다. 그는 “서거 후 상속 신고 때 노 전 대통령은 부채가 재산보다 4억원가량 더 많았다”고 전했다.

 그는 책 서문에서 “더는 노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가 애증의 대상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이제 누군가는 노 전 대통령을 극복하고 참여정부를 넘어서야 한다”고 말했다.

채병건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前] 대한민국 대통령(제16대)   *사망

1946년

[現] 법무법인부산 변호사
[前] 대통령비서실 실장(제29대)

1953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