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 김정일 표적지 … 북 “전면 군사보복”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일부 예비군 훈련장에서 북한 김일성·김정일과 후계자 김정은 얼굴 사진을 사격 표적지로 사용한 점을 빌미로 북한이 3일 군사보복 하겠다고 위협하고 나섰다. 북한군 총참모부 대변인은 성명에서 표적지 사용을 ‘특대형 도발 행위’라고 주장하고 “지금 이 시각부터 조선인민군 육·해·공군 및 노농적위군(예비군 성격의 민간무력) 부대들은 역적 무리를 일격에 쓸어버리기 위한 실제적이고 전면적인 군사적 보복 행동에 진입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총참모부 대변인은 “남조선 괴뢰당국은 특대형 도발 행위에 대해 온 민족 앞에 정식으로 사죄하고 철저한 재발 방지를 공식 담보해야 한다”며 “모든 부대는 괴뢰당국이 이번 사건의 주모자 처형과 사죄 조치를 세울 때까지 실제적이고 전면적인 군사적 보복 대응 도수를 계단식으로 높여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국방부 장관 김관진을 비롯한 군사불한당들을 민족공동의 이름으로 처형하는 즉시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북한 성명은 “동족 대결에 환장이 된 이명박 역적패당과는 애당초 마주 앉을 필요가 없고 오직 총대로 결판내야 한다는 것이 우리가 찾게 된 최종 결론”이라고 덧붙였다.

 북한이 언급한 표적지는 지난달 경기도 양주 등지의 예비군 훈련장에서 사용됐다. 군 관계자는 “46명의 우리 군 장병을 숨지게 한 천안함 폭침 도발의 주도자가 김정일과 김정은이라는 점과 3대 세습의 부당성을 인식시킨다는 취지에서 일선에서 지휘관 판단에 따라 사용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효율적 사격훈련에는 얼굴 표적보다 점수 측정이 가능한 원형 표적지가 적합하다는 판단에 따라 사용을 중지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북한 국방위는 지난달 30일 남북관계 단절을 선언하는 대변인 성명에서 “양주 등지에서 사격훈련이 벌어졌다”고 전했으나 표적지 문제는 언급하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는 “국방위가 1일 베이징 비밀접촉을 일방적으로 폭로·주장한 데 이어 총참모부가 표적지 문제를 뒤늦게 문제 삼는 등 북한 군부가 김정일·김정은에 대해 충성 경쟁을 벌이는 형국”이라고 분석했다. 천안함·연평도 도발에도 불구하고 올초부터 대남 대화 공세를 펼친 북한은 우리 정부가 ‘선(先)사과’ 입장을 강조하자 김정일이 중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지난달 말부터 군부 주도로 대남 위협을 가하고 있다.

 북한의 위협에 대해 국방부는 “북한군 동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으나 특이한 도발 징후나 움직임은 포착되지 않고 있다”며 “만일 군사행동에 나선다면 북한의 도발 원점을 타격·응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