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당헌 만든 과정 알 사람 다 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30일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에 참석한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가 같은 상임위 소속인 권경석 의원과 인사하고 있다. [오종택 기자]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30일 새로운 당 지도부를 선출하는 7·4 전당대회 경선 규칙과 관련, 당권(당 대표직)·대권(당 대선후보직) 분리 규정과 대표·최고위원 선출방식을 현행대로 유지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이로써 박근혜 전 대표,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 등 대선 예비주자가 이번 전당대회에서 대표직에 도전할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정의화 위원장은 브리핑에서 “8차례 회의에서 열띤 토론이 있었으나 끝까지 의견이 팽팽했다”며 “합의가 안 된 부분은 현행 룰을 따르도록 결정했다”고 말했다. 현행 당헌·당규를 유지하겠다는 결정이 19명 비대위원들 간 합의로 나온 게 아니라는 설명이다. 비대위에선 그동안 “규정을 바꾸자”는 과거 친이명박계 중심의 구주류와 “현행 규정을 유지하자”는 신주류(친박근혜계+쇄신그룹)가 팽팽하게 맞서왔다. 정 위원장은 “표결로 처리할 경우 비대위의 실패, 나아가 한나라당의 실패로 귀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대위원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위원장에게 결정을 일임했다”고 말했다.

 비대위는 대신 ▶대선 주자들에게 상임고문 등의 역할을 주고 예비 대선후보 등록시점도 현행 대선 240일 전에서 365일 전으로 앞당기는 방안 ▶당 대표가 최고위원 2명을 직접 지명하는 방안 등을 당헌·당규 소위원회에서 논의하도록 했다. 정 위원장은 “소위에서 의견을 수렴하면 전체회의에서 결론을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 대선 주자들의 활동 폭을 넓히고 당 대표의 권한을 강화하는 길을 일부 열어놓은 셈이다.

이는 그동안 비대위 내에서 정몽준 전 대표, 김문수 경기지사와 가까운 인사들이 “대선 주자가 당 대표직을 맡고 내년 총선에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던 점을 의식한 결정이다.

 하지만 비대위의 결정을 두고 “결국 박심(朴心)의 힘”이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근혜 전 대표가 19일 황우여 원내대표와의 회동에서 현행 규정이 유지되는 게 바람직하다는 뜻을 밝힌 게 이번 결정에 결정적인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다.

특히 박 전 대표는 30일 오전에도 국회 기획재정위 회의에 출석하면서 기자들을 만나 “이 당헌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아는 분들은 다 안다”며 “(현행 당헌·당규는) 9개월 동안 57차례의 공청회를 거쳐 만들어진 안”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현행 당헌·당규는 박 전 대표가 당을 이끌던 시절인 2005년에 만들어졌다. 박 전 대표는 당시 비주류였던 홍준표 의원에게 당 혁신위원장직을 주고, 혁신위에서 당 개혁 방안을 만들도록 했다. 혁신위가 제시한 ‘당권·대권 분리 원칙’은 박 전 대표에게 불리한 내용이었다. 당시 이명박 서울시장과 손학규 경기지사 측은 혁신위 안을 지지했고, 박 전 대표는 자신의 임기를 단축하면서 이들의 주장을 받아들였다. 그가 “아는 분들은 다 안다”고 한 건 당시 당의 민주화와 개혁 차원에서 현행 당헌·당규를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글=백일현 기자
사진=오종택 기자

사진

이름

소속기관

생년

[現] 한나라당 국회의원(제18대)

1952년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