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장 이문제] 고래대사관 철거 ' 폭풍전야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 그린피스 회원들이 지난달 10일 장생포 해양공원 부지에 설치한 천막 "고래대사관".[울산시 제공]

울산시와 그린피스가 고래대사관 철거 문제로 마찰을 빚고 있다.

고래대사관은 27일부터 다음달 24일까지 열리는 국제포경위원회(IWC)울산총회를 앞두고 반포경(고래잡이 반대)운동을 벌이기 위해 그린피스가 장생포 해양공원 부지에 설치한 3개동의 천막 가건물이다.

이 곳은 지난달 10일부터 짐 위켄스(26.영국.그린피스 국제본부 해양켐페이너)등 12명의 그린피스 소속 외국인들이 울산환경운동연합의 도움을 받으며 숙소 겸 활동 무대로 쓰고 있다.

위켄스는 15일 "울산시가 바다의 날(31일) 행사용 임시 주차장을 만들겠다며 오늘까지 대사관 자진 철거를 요구하는 공문을 보내왔다"며 "이 부지에 울산시가 고래해체장(도축장)을 짓기로 한 계획을 철회하지 않는다면 고래대사관도 철거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또 "울산시가 이 부지에 고래해체장을 짓는다는 것은 고래의 상업적 유통과 포경을 유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울산시는 지금까지 그물에 걸리거나 좌초돼 죽은 고래를 식당 앞마당이나 항구 등 비위생적인 곳에서 처리해오면서 식품 안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 지난해말 해체장(위생처리시설) 건립 계획을 세운 바 있다.

그러나 울산시는 "일부에서 올해 중 고래해체장 건립 공사를 착공한다는 소문을 퍼뜨리고 있으나 아직 예산 확보가 안돼 현재로선 계획 자체가 백지화된 상태"라고 밝혔다.

그린피스와 함께 반포경 운동을 벌이고 있는 환경운동연합측은 "당장 예산 확보가 되지 않았다고 해체장 건립계획이 없다고 하는 것은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것"이라며 "10여년에 걸친 해양공원 조성계획에서 고래해체장 건립계획을 아예 삭제하겠다는 내용을 명문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울산시는 16일부터 바다의 날 기념 행사용 임시주차장 조성공사를 시작할 계획이며 15일까지 그린피스가 고래대사관을 철거하지 않을 경우 강제철거에 나설 계획이어서 양측간 물리적 충돌이 우려된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