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 PF’ 1조원 사들일 배드뱅크 내달 설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건설사들로선 ‘발등의 불’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도 나왔다. 금융권의 PF 대출금 회수로 중견 건설사들까지 흔들리면서 건설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어서다.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지원 방안은 해당 사업장이 되살아날 가능성이 있는지 없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우선 되살릴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부실 PF 사업장 중 일부는 공공부문에서 인수키로 했다. 토지 매입이 일정 수준 이상 이뤄진 부실 PF 사업장이 그 대상이다. 정부는 이런 사업장을 인수해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이다. 국토해양부 박상우 주택토지실장은 “아직 구체적인 대상을 말하긴 어렵지만 현재 50~60개 사업장을 놓고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부실 PF 사업장은 ‘PF 정상화 뱅크’가 인수해 정상화시킬 계획이다. PF 정상화 뱅크란 PF부실채권을 사들이는 구조조정 기구로 연합자산관리주식회사(유암코) 산하 사모펀드(PEF) 형태로 만들어진다. 6월 중 설립될 1호 PEF는 PF 사업장 30여 곳의 1조원어치 채권을 시장가격에 사들일 예정이다. 이를 위한 5000억원가량의 돈은 PF채권을 매각하는 7~8개 은행들이 부담한다. 이후 사업장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신규자금은 PEF가 차입을 통해 자체 조달키로 했다. 금융위 정은보 금융정책국장은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2호, 3호 PF정상화뱅크를 계속 설립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대한주택보증의 PF대책 보증을 지난해 5000억원에서 올해는 1조5000억원으로 크게 늘리기로 했다.

한애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