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계절마다 추천하는 보약 다르다

중앙일보

입력

몸이 부쩍 약해진 느낌이 들 때, 한창 일을 하면서 체력이 소진 될 때, 으레 ‘보약 한제 지어 먹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보약은 말 그대로 몸을 보하는 약으로 남는 것은 덜고 부족한 것은 채워 균형있는 생리를 돕는다.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선 끊임없이 변화하는 기운에 순응하되, 비정상적인 변화에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인체는 한 번의 호흡, 낮과 밤, 한 해 동안의 변화에 따라 변화된다. 따라서 계절별로 달라지는 기운에 따라 보약을 달리해야한다.

봄은 생명이 움트고 자라는 시기이다. 이때는 혈기를 돋을 수 있고 순환시키는 약을 주어 자라나는 기운을 도와야 한다. 예를 들어 팔물탕은 혈기를 보태주는데 효과적이며, 쌍화탕은 간의 기운을 도와 나른해지기 쉬운 봄철에 쓰인다.

여름은 모든 변화가 만개하고 퍼지는 시기이다. 인체의 생리도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기의 소모에 유의해야 한다. 땀을 통해 진액이 빠져나가고 진액이 빠지면서 같이 기운도 빠져나갈 수 있다. 따라서 시원한 물과 같은 진액을 보태고 기운을 보충해 주어야 건강히 여름을 날 수 있다.

가을은 수확의 계절로, 봄과 여름의 생장이 가을에 와서 결실을 맺고 갈무리된다. 따라서 좋은 보약을 가을에 먹으면 몸이 잘 받아들이고 겨울을 잘 이겨낸다고 하여 가을에 보약을 짓는 것을 권장하기도 한다.

겨울에 생명은 다음의 1년을 준비하여 응집되고, 바깥의 날씨가 춥기 때문에 기온의 차이도 심해 다른 계절보다 중병을 앓는 사람과 노인은 특별히 건강에 주의해야할 계절이다. 몸이 약해져 있다면 팔미지황탕, 십전대보탕 등 따뜻한 양기를 보태주는 보약으로 겨울을 이겨나갈 수 있다.

이처럼 계절마다 주로 쓰이는 보약도 제각각이며, 자신의 건강 상태에 따라 처방도 다르다. 때문에 ‘몸에 좋은 것이라면 무조건’이라는 인식보다는 자신에게 딱 맞는 건강 관리법이나 적절한 보약으로 기운 없는 봄철을 건강하게 나길 바란다.

박성배 한의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