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상담 노크하세요 37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중학교 1학년이다. 초등 수학과 비교해 중학교 수학은 어떤 차이가 있으며, 어떻게 대비해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초등 수학과 중학 수학의 가장 큰 차이점은 다양한 기호의 사용이다. 초등학교 때는 수학의 기초적인 개념과 여러 가지 수의 계산법을 배운다. 중학생이 되면 수학적 기호를 사용한 새로운 식과 계산법을 배운다. 따라서 초등 수학에 비해 중학 수학이 복잡해 보이기는 하지만, 계산 과정은 오히려 단순하다. 초등 수학이 계산력을 요구한다면, 중학 수학은 분석력을 요구한다. 단순히 문제를 푸는 능력뿐만 아니라 문제를 읽고 그 속에 담겨있는 뜻을 정확히 분석하는 능력을 길러야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다.

새로운 기호에 익숙해지기

 중학교 1학년 1단원 집합에서부터 다양한 집합 기호들이 등장한다. 그런데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새로운 기호의 뜻을 몰라 문제를 틀리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새로운 기호를 배울 때 마다 기호의 정확한 뜻이 뭔지,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지 등을 먼저 공부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제를 이해할 수 있는 첫걸음이다.

문제를 꼼꼼히 읽고 메모하기

 문제를 눈으로 대충 읽고 계산만 하려 하기 때문에 함정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중학 수학에서는 단순히 ‘무엇을 구하라’가 아니라, ‘~의 값을 찾아 ~를 구하라’처럼 같은 문제라도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를 꼼꼼히 읽는 습관이 중요하다.

 물론 문제를 꼼꼼히 읽었어도 어떻게 풀이를 시작해야 하는지 파악하지 못해 어려워하는 경우도 있다. 문제의 뜻을 이해했지만 이를 분석하지 못해서다. 이런 유형의 문제들은 문제 속에 해결 방법이 제시돼있기 때문에 문제 분석 방법만 안다면 오히려 쉽게 풀 수 있다. 문제를 읽어 내려가면서 각 문제에 제시된 단어나 조건에 포함된 뜻을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가장 쉬운 방법으로는 각 문제에 제시된 단어나 조건에 연관성이 있는 개념이나 공식을 적어보는 것이다. 메모 속에 적힌 공식을 연결하다 보면 풀이방법을 찾게 될 것이다.

풀이과정 위주의 학습을 해야

 처음 서술형 문제를 풀 때 가장 많이 저지르는 실수는 계산 과정만 적거나 풀이 과정을 글짓기 하듯 말로 설명하는 것이다. 서술형 문제에 대해 학생들이 제출한 답안지를 보면 숫자들의 사칙연산 과정만 복잡하게 적혀 있어서 어떻게 풀었는지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잘못된 기호를 사용해 풀이과정 자체가 이해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 교사입장에서 좋은 점수를 주기가 난감하다.

 최근들어 서술형 평가 기준이 점차 까다로워지고 있기 때문에 풀이과정 위주의 학습은 반드시 필요하다. 한 문제를 풀더라도 정확한 기호를 사용해 풀이과정을 정리하며 적어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처음에는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한 문제를 풀더라도 10문제 이상을 공부한 학습효과를 맛보게 될 것이다.

<박지연 dyb선수학 중등팀장 사진="중앙포토">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