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지역 균형개발 차질 … 대형 도시개발 사업 줄줄이 백지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2면

천안지역에서 진행되던 대형 도시개발 사업들이 줄줄이 무산되거나 중단될 처지에 놓이면서 지역균형개발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최근 시에 따르면 2009년 동남구 청당동 일원 44만2970㎡를 도시개발구역으로 지정하고 개발을 진행하던 청당도시개발사업지구에 대한 지구지정이 14일자로 해제돼 사실상 사업이 무산됐다.

 시가 사업비 625억원을 들여 환지방식으로 오는 2014년까지 ▶주거용지 25만1668㎡ ▶도시 기반시설 용지 19만698㎡ ▶기타 시설용지 604㎡ 공급을 목표로 추진해왔으나 개발지구내 토지 소유자들의 반대로 결국 지구지정이 해제됐다.

 앞서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서북구 성환읍 일원 42만5000㎡를 국민임대주택단지로 개발, 오는 2014년까지 4117가구를 공급하려던 계획도 경영난을 이유로 지난달 말 사업 철회 결정과 함께 지구지정이 해제됐다.

 성거읍 신월·소우리와 직산읍 삼은리 일원 66만8293㎡를 개발, 올해 안으로 4936가구를 공급하려던 계획도 토지보상이 지연되면서 민원이 제기돼 지구지정 해제가 검토되고 있다.

 이밖에 초대형사업으로 6조4000억원이 투자돼 부대·업성·성성동 등 일원 307만㎡에 비즈니스호텔, 컨벤션센터, 국제금융 무역시설 등이 들어서는 천안국제비즈니스파크를 건설하려던 계획도 최근 20개 참여기업을 대상으로 자본증자를 시도했으나 12개사만이 참여하는 등으로 실패, 추진 전망이 불투명하다.

 이처럼 대형 도시개발사업의 잇따른 무산으로 아파트와 택지 미분양 등 주택경기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우려되는 데다 지역균형발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의 침체와 LH의 경영난 등으로 일부 사업의 취소가 이어졌다”며 “천안국제비즈니스파크 등 대형사업은 계속 추진될 수 있도록 유도, 지역경기가 침체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장찬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