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호쿠에 한국인 2만3000명 … 관광객 1000명 안전 비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11일 오후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공항에 쓰나미가 각종 잔해를 몰고 덮쳤다. 그 바람에 활주로에 비행기와 자동차가 한데 뒤엉켜 있다. 센다이공항에 있던 시민들은 공항 건물 옥상으로 대피했다. [센다이 AP=연합뉴스]

11일 일본 도호쿠(東北) 지역 대지진과 쓰나미에 따른 현지 교민들의 피해 상황은 즉각 파악되지 않고 있다.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도호쿠 지역에는 교포와 유학생 등 한국 국민 2만3000명 이상이 장기체류 중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가장 큰 피해를 본 센다이 주변에만 1만1500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미야기현에 4439명, 야마가타현에 2099명, 후쿠시마현에 2061명 등이 머물고 있다. 이 밖에 1000여 명의 여행객도 인근 지역에 체류 중이다. 이에 따라 한국 국민의 피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휴대전화 불통으로 주센다이 총영사관이 유선전화를 통해 피해 상황을 집계 중”이라며 “현지 교민보다는 여행차 머물고 있는 국민들의 안전이 특히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일본 대사관과 주센다이 총영사관은 비상대책반을 설치하고 교민들에게 안전지대로 대피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해일 피해가 커지면서 유선전화도 끊길 수 있다. 교민 피해 상황 집계 및 안전 대책 제시에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일본 전역에는 한국인 91만 명이 체류하고 있다.

정부는 이날 조병제 외교부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일본 측에 위로의 뜻을 전했다. 정부는 “지진과 해일이 발생해 귀중한 인명피해와 막대한 재산손실이 일어난 것과 관련해 일본 정부와 국민에 대해 심심한 애도와 위로의 뜻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재민 지원과 관련, 정부는 일본의 요청이 있을 경우 중앙119구조단 76명, 의료인력 40명, 외교부 신속대응팀 4명 등 120명을 급파하기로 했다. 일본 측의 허가가 떨어지는 대로 C-130 공군수송기 3대를 이용해 이르면 12일 오전 9시 이루마나 나고야, 간사이 쪽 공항으로 이들을 보낼 예정이다.

한편 이명박 대통령은 11일 일본 지진과 관련, “이웃나라로서 최선을 다해 피해 복구나, 필요하면 구조 활동을 지원하도록 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위기관리센터에서 일본 지진과 관련한 긴급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이번 일본의 사태는 대단히 불행한 일로 피해가 최소화됐으면 좋겠다”며 이같이 밝혔다고 홍상표 홍보수석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일본 지진 사태가 세계 경제와 국내 경제에 미칠 영향도 지적, “각 부처가 이를 점검해서 대책을 세우라”고 지시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권철현 주일대사 등과 전화 통화를 하고 우리 교민과 여행객들의 안전 및 현지 피해 상황 등을 보고받았다. 이 대통령은 또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에게 위로전문을 보내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했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