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이익공유제, 동반성장에 되레 역행’ 판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내가 기업가 집안에서 자랐고 학교에서 경제학 공부를 계속해 왔는데 그런 얘기(초과이익공유제)는 들어보지 못했다. 부정적, 긍정적을 떠나서. 도대체 경제학 책에서 배우지 못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자본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공산주의 국가에서 쓰는 말인지 모르겠다.”


10일 이건희 회장은 단호했다. 평소의 조용한 말투와는 달랐다.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질문을 받고서다. “학교에서 경제학 공부를 계속해 왔는데 그런 얘기(초과이익공유제)는 들어보지 못했다”고 할 때는 목소리 톤이 높아졌다.

 정책 현안에 대한 이 회장의 발언은 오랜만이다. 이 회장은 1995년 중국 베이징에서 “정치는 4류, 관료와 행정은 3류, 기업은 2류”라며 당시 김영삼 정부를 비판한 적이 있다. 하지만 그게 마지막이었다. 이후에는 정부의 정책을 평가하는 말을 공석에서 한 적이 없었다. 이 때문에 재계 일각에서는 “뜻밖”이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 회장이 간결하면서도 강렬한 비판을 내놓은 것은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작심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익명을 당부한 한 재계 관계자는 “이 회장은 최근 이익공유제 논란이 소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안타까움을 갖고 있었다”며 “소모적 논란이 정리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고뇌 끝에 직설적 화법을 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물론 재계 저변에는 하고 싶던 말을 터뜨려줬다는 점에서 “시원하다”는 반응이 많다.

 사실 이 회장은 그간 동반성장에 대해 강한 의지를 나타냈고, 정부의 동반성장 정책도 지지해 왔다. 지난해 9월 이명박 대통령이 주재한 조찬 간담회에서는 “2차, 3차 협력업체까지 세밀하게 챙기겠다”고 했다. 또 올 초 신년사에서는 “협력 업체는 삼성 공동체의 일원이며 경쟁력의 바탕”이라고 못박고 “협력업체가 더 강해질 수 있도록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렇지만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의 야심작인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서는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익명을 원한 삼성 고위 관계자는 “초과이익공유제가 오히려 동반성장에 역행하는 제도라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회장이 생각하는 동반성장의 핵심은 협력 중소기업들의 경쟁력이 높아지도록 대기업들이 돕는 것을 뜻한다는 것이다. 여기엔 대기업들이 이익을 나눠주는 방식은 스스로 경쟁력을 키우려는 중소기업의 치열한 노력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삼성 관계자는 “이 회장은 평소 동반성장을 통한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가 국가 경제의 경쟁력을 높이는 길이라고 강조해 왔다”며 “초과이익공유제는 반대로 국가 경쟁력을 훼손할 수 있다고 생각해 쓴소리를 던진 것”이라고 말했다. 초과이익공유제가 중소기업 경쟁력 향상에 ‘득’이 아니라 ‘독’이 될 수 있다는 얘기인 것이다.

또 다른 삼성 관계자는 “초과이익공유제가 아직까지는 정운찬 위원장의 개인적인 의견인 만큼 문제가 있다면 비판할 수도 있는 것 아니냐”며 “다만 삼성은 정부가 강조하기 전부터 동반성장에 앞장서 왔고, 앞으로 더 노력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재계는 이날 이 회장의 발언을 계기로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해 재계의 입장을 보다 자유롭게 개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이건희 회장이 생각 없이 아무 말이나 하는 분이 아니다”며 “이번 발언이 초과이익공유제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바꾸고, 정운찬 위원장이 폭넓은 의견을 듣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권혁주·

김기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