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차기 총리 0순위 마에하라 … 재일한국인 헌금 논란에 낙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일본의 차기 총리 ‘0순위’로 꼽히던 마에하라 세이지(前原誠司·48·사진) 외상이 불고깃집을 경영하는 재일 한국인으로부터 정치헌금을 받은 데 책임을 지고 6일 외상직을 전격 사임했다.

 제1야당인 자민당의 니시다 쇼지(西田昌司) 참의원은 지난 4일 마에하라 외상이 한국인에게서 2005년부터 4년간 매년 5만 엔씩 모두 20만 엔을 기부받았다고 폭로했다. 일본에서는 외국으로부터의 정치 불간섭을 위해 외국인의 정치헌금을 금지하고 있다. 연간 5만 엔은 현 환율로 67만원, 기부 당시 환율로는 45만원 정도다. 하지만 일본으로 귀화하지 않은 한국인 여성 장모(72)씨가 준 이 ‘성의 표시’ 때문에 마에하라는 총리의 꿈을 당분간 접게 됐다. 마에하라 외상은 6일 밤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의 관저를 찾아 1시간40분 동안 격론 끝에 외상직을 사임하기로 했다.

 장씨는 마에하라가 중학교 2학년 때 이사 간 교토(京都) 시내 한 마을에 있던 ‘야키니쿠(불고기) 집’ 주인이었다. 부친을 일찍이 여의고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마에하라 학생’에게 이 여성은 어머니처럼 돌봐주는 고마운 존재였다. 그러나 정치자금법을 알 리 없는 이 한국인 여성이 일본식 이름으로 기부한 소액 헌금이 자민당 의원에 의해 폭로돼 이렇게 큰 문제가 될 줄은 누구도 예상치 못했다.

 문제가 불거지자 마에하라 외상 측은 “일본 이름으로 헌금돼 있는 걸 비서들이 어떻게 일일이 국적을 확인하겠는가. 고의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야당은 “딴 사람도 아닌 외상이 관련 조항을 어기고 그냥 넘어가려 하느냐”며 참의원에서 문책결의안을 내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기부자가 외국인임을 알고도 기부를 받으면 3년 이하의 금고형 혹은 50만 엔 이상의 벌금이 부과된다. 선거권·피선거권도 5년간 정지된다.

결국 간 총리는 이번 주부터 본격화될 국회 공방에서 이 문제가 걸림돌이 될 경우 정권에 큰 타격이 있을 것을 감안, 마에하라 외상의 사의를 신속히 수리했다.

 앞서 마에하라는 4일 밤 이 한국인 여성에게 전화를 걸어 “죄송합니다. 폐를 끼쳤습니다”고 사죄했다고 한다. 한국인 여성도 “자네 입장에서 (내가) 재일 한국인(외국인)인지, 일본 국적을 갖고 있는지 실례되게 물었겠느냐. (묻는 것 자체가) 재일 한국인을 차별한다는 이야기니까…”라며 미안한 마음을 표현했다.

 마에하라가 ‘일본의 새로운 별’로 부상한 것은 2005년 9월이었다. 43세의 나이에 민주당 대표 선거에 나선 그를 모두 “애송이”라 폄하했다. 상대는 간 나오토 현 총리였다. 절대 열세로 여겨졌던 투표 당일, 그는 열변을 토하며 일본의 나아갈 길에 대해 즉석 연설을 했다. 준비된 원고를 읽은 간과는 대조적이었다. 결과는 2표 차의 극적인 승리. 다음 날 아사히(朝日)신문은 ‘노려라! 일본의 토니 블레어를!’이란 제목의 사설에서 그를 극찬했다.

 지난해 9월 전후 최연소 외상에 오른 마에하라의 정책은 일본의 기존 보수 또는 진보와는 확연히 차이가 난다. 그래서 ‘변화’를 기대하는 일본인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은 측면도 있었다. 사카모토 료마(坂本龍馬)를 가장 존경한다는 그가 위기를 기회로 역전시키는 데 천부적이었던 료마처럼 이번 위기를 기회로 승화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도쿄=김현기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