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중국 경제 질적 변화를 읽어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4면

지금 중국 베이징에서는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 즉 양회(兩會)가 열리고 있다. 매년 이맘때 중국이 정책 줄기를 정하는 중요한 정치행사다. 올해는 특히 12차 5개년 계획의 첫해라 2015년까지 중국 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잡는다는 점에서 더 큰 관심을 모은다. 마침 아프리카에서 불어온 반독재 바람으로 중국 주요 도시에서는 민주화 시위도 산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국무원이 전인대에 제출한 향후 5년간 정책 초안은 경제구조를 내수 중심으로 전환하고, 분배에 주력한다는 점을 골자로 하고 있다.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로 잡고 있다. 하지만 과연 이렇게 낮출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지난 5년간 목표 성장률도 7.5%였지만 실제로는 11%(연평균)를 기록했다.

 하지만 개인 간 빈부격차 확대와 지역 간 불균형 개발로 사회적 불안이 점증하고 있어 중국 정부가 적극적인 방향 전환을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빠르게 성장해 온 연안 도시는 우선 순위에서 밀리고, 여전히 낙후돼 있는 내륙 개발에 자원이 많이 배정될 것이다. 중국 진출을 원하는 외국 기업에 대해서도 내륙 도시로 유도할 공산이 크다.

 원자바오(溫家寶·온가보) 총리는 5일 전인대 개회식에서 “앞으로 5년간 인민의 생활수준을 전면적으로 개선해 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매년 평균 900만 개의 일자리를 만드는 동시에 최저임금도 한 해 13%씩 올리기로 했다. 도시 실업률은 5%로 억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7% 성장으로는 쉽지 않은 일이다. 원 총리는 내수 확대는 균형 잡힌 성장을 위한 길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43%였던 서비스산업의 비중을 5년 뒤 47%로 끌어올리려는 것도 이런 차원에서다.

 이미 중국에 진출했거나 진출할 기업들은 앞으로 예상되는 변화를 면밀히 체크해야 한다. 환경 오염 산업은 더 이상 환영받지 못하며, 저임도 지나간 얘기가 돼 가고 있다. 근로자들의 욕구도 봇물을 이룰 것이기 때문에 노무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무엇보다 중국을 수출기지로 삼기보다는 중국 자체를 시장으로 보는 전략이 필요하다. 마케팅도 그들의 문화와 기호와 습성을 연구해야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