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돈 어떡하나” 대형사까지 인출 문의 쇄도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영업정지를 당한 삼화저축은행의 서울 신촌점에서 17일 한 고객이 통장과 관련 서류를 들고 상담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추가로 영업정지 조치를 받을 저축은행은 없다”고 말했다. [조문규 기자]

삼화저축은행 영업정지의 파장이 작지 않다. 17일 일부 저축은행에서 예금 이탈이 일어나는가 하면 “내 돈은 안전하냐”고 묻는 예금자들의 문의전화가 쇄도했다.

 금융위원회와 저축은행들에 따르면 영업정지 발표 당일인 이달 14일 이미 서울지역 저축은행들에서 1200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간 것으로 알려졌다. 경영상태가 부실한 저축은행이 지방에 많은 점을 감안하면 이날 하루 이탈액이 2000억원을 넘을 거라는 게 업계의 추산이다. 예금 이탈은 지난해 금융위원회와 경영개선약정(MOU)을 맺고도 경영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있는 예닐곱 개 저축은행에서 두드러진다. 지방의 한 저축은행은 이날 하루 전체 예금액의 2%인 180억원이 빠져나갔다. 돈을 찾고 있는 사람들은 주로 예금보호 대상인 원리금 5000만원을 넘는 금액을 넣어둔 사람들이지만, 그 이하를 넣어둔 사람들도 일부 돈을 찾아가고 있다.

A저축은행 관계자는 “언론에서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는 곳과 지방 소규모 저축은행들에서 예금 인출이 상당하다”며 “대형사들도 미미하지만 평소보다 예금이 조금씩 빠졌다”고 전했다. 고객이 찾아가는 돈과 넣는 돈의 규모가 비슷했던 수도권의 한 저축은행은 17일 하루 50억원가량이 빠졌다.

 당국도 불안감이 확산되면 건전한 저축은행까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긴급 점검에 나섰다. 금융감독원 김영기 상시감시팀장은 “일시적 과잉반응이라 곧 진정될 것으로 보지만 만일에 대비해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부실금융기관으로 지정돼 영업정지를 당할 가능성이 있는 저축은행은 세 곳에 불과하고 지정 뒤에도 경영개선기간이 1년 이상 주어진다”며 “다른 저축은행 예금을 서둘러 빼 손해볼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글=나현철·권희진 기자
사진=조문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