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마지노선’ 홍성마저 뚫리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전국 시·군 가운데 소·돼지류의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충남 홍성군에서도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또 정부는 구제역 예방 접종지역을 전남북과 경남을 포함한 전국으로 확대키로 했다.

 12일 충남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홍성군 금마면의 한우농장주가 “소 한 마리가 침을 흘리고 사료를 잘 먹지 않는다”며 방역당국에 신고했다. 이 농장에는 소 32마리가 있다. 도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정밀검사를 의뢰하고 농장 주변에 이동제한 조치를 취했다. 결과는 13일 오전에 나온다. 홍성군의 돼지 사육두수는 48만여 마리로 전국 시·군 중 가장 많고 소(6만6000여 마리)는 3~4위 규모다. 건국대 수의학과 이중복 교수는 “홍성은 전북 익산·김제 등과 사료·종돈·수의사 등 교류가 활발하다”며 “구제역 방역의 마지노선 격인 홍성이 뚫렸다면 전남북까지 급격히 확산될 것”이라고 말했다. 자칫 살처분 마리 수가 300만을 돌파할 것이라는 우려다.

 정부도 이날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구제역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전국적인 백신접종을 하기로 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은 “선제적 백신 접종을 통해 구제역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이라며 “예방 백신은 이미 확보한 1100만 두분 외에 추가량을 신속히 확보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주최한 ‘구제역 현황과 대책’ 긴급 정책토론회에서 서울대 수의대 채찬희 교수는 “경북 안동에서 첫 구제역 의심신고가 있었을 때 수의과학검역원에 의뢰해 정밀진단을 했었다면 5∼7일가량 먼저 구제역을 확진해 대처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영순 전 식품의약품안전청장은 “정부가 구제역 의심 가검물은 수의과학검역원에 의뢰토록 지자체에 요청했으나 지켜지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대전=김방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