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유치” 울산·대구·경북 손 잡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1면

3조5000억원 규모의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업 유치를 위해 울산이 대구·경북과 손을 잡았다.

울산·대구·경북 시도지사는 11일 대구 인터불고 호텔에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치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구축은 2009년부터 2015년까지 7년간 3조5487억원을 투자하는 국가 경쟁력 강화사업이다. 세계적 수준의 기초과학연구원을 설립하고, 중이온가속기 건설,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기반 구축, 연구와 산업간 네트워크 구축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종합계획안을 확정했던 2009년 1월에는 세종시 입주를 염두에 둔 것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6월 국회에서 세종시 수정안이 부결되면서 표류했다. 지난해 12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다시 탄력을 얻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6월쯤 입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울산·대구·경북을 하나로 묶는 영남권, 천안·오송 등 충청권, 광주권 등 3개 권역에서 치열한 유치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울산시에 따르면 영남권 유치전략에는 포항권을 거점지구로, 경주·울산·대구권을 기능지구로 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포항에는 방사광가속기·포스텍·막스플랑크연구소·포스코가 입지한데다 지리적으로 영남권 산업벨트의 중심지라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또 경주권은 문화·휴양지인데다 양성자가속기·자동차부품업체가, 울산권은 국내 최대의 자동차·조선·정밀화학업체가 있다. 대구권은 교육·소비 도시인데다 첨단기초과학 연구시설과 연구기관, 그 연구성과를 산업화할 수 있는 기업체 등을 고루 갖추고 있다는 점을 중점적으로 홍보한다는 방침이다.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포항이 대통령의 고향이란 점이 부각될 경우 형님 예산 논란과 얽힐 수 있다는 점이 걱정”이라고 말했다.

이기원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