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득구 아들 치대생이라니 고맙고 만나고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미국 샌타모니카의 레스토랑에서 만난 레이 맨시니. [LA중앙일보=김상진 기자]

“마지막 펀치가 치명타였습니다.”

 김득구의 뇌수술을 집도한 로니 함그렘 박사는 김득구가 뇌사상태에 빠져 소생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레이 맨시니는 순간 자신의 두 손만 뚫어지게 쳐다봤다. “내 손에 정말 사람이 죽었단 말인가”

 1982년 11월 13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시저스 팰리스 특설링. WBA 라이트급 타이틀 매치. 챔피언은 미국의 레이 맨시니, 도전자는 한국의 김득구. 14회 공이 울리자 맨시니는 카운터 블로에 이어 강력한 레프트 훅을 날렸다. 김득구가 비틀거리자 맨시니의 라이트 스트레이트가 턱에 작렬했다. ‘마지막 펀치’였다. 김득구는 링에 쓰러졌고 나흘 뒤 세상을 떠났다.

 비극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아들의 죽음이 가난을 물려준 자신 때문이라고 비관한 그의 어머니는 3개월 뒤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경기 주심 리처드 그린도 심한 우울증에 시달리다 7개월 뒤 자살했다. 맨시니도 ‘사람 죽인 복서’라는 비난을 받으며 우울증에 빠졌다.

 지난해 11월, 김득구 사망 28주년을 맞아 맨시니와 접촉을 시도했다. 마흔아홉 살인 그는 영화배우 겸 제작자로서 새 삶을 살고 있었다. 12월 9일 미국 샌타모니카에 있는 그의 영화 사무실 앞에서 맨시니를 만났다. 다음은 중앙SUNDAY가 보도한 인터뷰 내용.

 -복싱계를 은퇴한 뒤 뭘 하며 지냈나.

 “1980년대 중반 영화업계에 뛰어들었다. 영화배우 겸 제작자로 활동했다. ‘챔피언 픽처스’라는 독립영화 제작자로 일하고 있다.”

 -김득구와 링에서 맞서기 전, 어떤 인상을 받았나.

 “그가 누군지 몰랐다. 경기 필름을 보며 강한 파이터라는 사실만 알았다. 물러서지 않는 복서였다. ‘한 명은 들것에 실려간다’는 마음으로 경기에 임했다.”

 -경기 주요 순간들을 설명해 달라.

 “탐색전 없이 그가 나의 턱을 가격하고 들어왔다. 나도 ‘한 번 해 보자’는 마음이 생겼다. 초반 3연타를 성공시켰는데, 김득구가 나를 밀어낸 뒤 끄떡없다는 듯 두 팔을 흔들며 의기양양한 모습을 보였다. 난 순간적으로 공포를 느꼈다. 내 복싱 인생에서 경기 중 포기하고 싶던 때는 그 때가 유일했다.”

 -언제 승리를 직감했나.

 “9회를 넘기면서 김득구의 눈동자가 풀리기 시작했다. 13라운드에서 39타를 연속 때려도 김득구가 반응하지 못해 이길 거란 생각이 들었다.”

 -사건 후 가장 힘들었을 때는.

 “아이들이 나 때문에 피해를 봤다. 그게 가장 힘들었다. 어느날 딸이 친구들로부터 ‘너네 아빠 사람 죽인 적 있다며?’라는 말을 듣고 엉엉 울며 집에 왔다. 그 날 딸과 경기 비디오를 봤다. 보고 나서 딸은 ‘아빠 잘못이 아니네요’라며 껴안아줬다.”

 -복서로서 김득구를 평가한다면.

 “아주 가난했는데도 세계적 복서로 성장했다. 존경스러울 따름이다. 매년 11월 13일 그와 그의 가족을 위해 기도한다.”

 김득구의 아들 지완 군은 지금 치과대학에 다닌다. 인터뷰 말미에 ‘김득구 아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뭐냐’고 묻자 맨시니는 눈물을 글썽이며 말했다. “정말 미안하다고 말하고 싶다. 그가 아버지를 닮았다면 분명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했을 것이다”

 아들이 치과대학에 다닌다고 알려줬다. “정말 잘 됐다. 반갑고 고맙다. 언젠가 꼭 한번 만나보고 싶다.” 그의 얼굴이 처음으로 활짝 펴졌다.

샌타모니카=LA중앙일보 원용석 기자
사진=김상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