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 좌우 대칭 이뤄야 아름답게 느껴지고 건강한 사람으로 인식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00호 20면

아름다운 얼굴에는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 가장 중요한 특징은 ‘안면대칭성(facial symmetry)’이다. 얼굴의 좌측·우측이 대칭인 얼굴은 아름답게 느껴지고 그러한 얼굴을 한 사람은 건강하다고 인식된다. 다빈치의 ‘안면3등분 공식(facial third formula)’은 현대 미용 성형에도 적용된다. 눈썹을 잇는 선과 코와 인중이 만나는 점을 연장한 선이 안면을 3등분하면 아름다운 얼굴이다. 다른 말로 하면 이마 끝에서 미간, 미간에서 코끝, 코끝에서 턱 끝의 비율이 1대 1대 1이 돼야 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동안(童顔·어린아이 같은 나이 든 사람의 얼굴)이 각광받게 돼 턱이 짧아져 비율이 1대 1대 0.8로 바뀌었다. 한편 플라톤의 황금비율(golden proportion)에 따르면 이상적인 얼굴의 가로 길이는 세로 길이의 3분의 2이다.

루키즘 Lookism
루키즘은 외모지상주의와 뜻이 약간 다르다. 외모지상주의는 “외모를 인생을 살아가거나 성공하는 데 제일 주요한 것으로 보는 사고방식”이다. 루키즘은 “외모에 기초한 차별이나 편견”을 말한다.

미모 프리미엄 Beauty premium
잘생긴 사람이 덤으로 얻는 이득이다. 영화·방송·모델 등 글래머 산업 직종에서는 외모 프리미엄이 정당하다는 주장도 있다. 반대말은 ‘못생김 불이익(plainness penalty)’이다.

성적(性的) 자본 Sexual capital
“성적 매력에 따라 개인이 얻게 되는 지위”를 말한다. 성애(性愛) 자본(erotic capital)으로도 불리는 성적 자본은 연예·스포츠·정치 분야의 셀레브리티(celebrity)에게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후광 효과 Halo effect
평가 대상의 한 특질이 다른 특질들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편견을 말한다. 잘생긴 사람은 지능이 높고 성격도 좋다는 식으로 평가하는 미모 편견(Beauty bias)이 대표적인 경우다.

전형성 Prototypicality
아름다운 얼굴은 특색 있는 얼굴이 아니라 오히려 가장 전형적인 얼굴이라는 게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졌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상은 인간의 가장 전형적인 특징을 구현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참 좋은 성격 Great personality
‘정치적인 올바름’의 강조로 ‘ugly(추한, 못생긴)’라는 말 대신 ‘unattractive, plain’이 흔히 사용된다. ‘great personality’는 ‘못생긴 여자(ugly woman)’를 일컫는 슬랭이라 사용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